[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내 항공사 중 제주항공과 티웨이 일부 기종의 일반석 좌석 면적이 가장 좁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 B737-800 기종 (이코노미) 일반석 안장 폭은 최소 41.4㎝이었고 고객 1인당 면적도 최소 0.305㎡였다. 같은 기종 티웨이 일반석도 안장 폭이 최소 43㎝ 인당 면적은 최소 0.314㎡로 확인돼 두 항공사의 일반석 면적이 국내 6개 항공사 중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국회의원(광주북구갑) 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6개 항공사 이코노미 좌석 현황’ 전수조사 자료를 지난 23일 공표했다. 조사 대상은 저가항공사인 제주항공·진에어·티웨이·에어부산과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등이다.
좌석수 200인 미만 소형항공기 기준 제주항공 B737-800은 안장 폭 41.4~43.9㎝ 좌석간격 73.7~76.2㎝, 고객 1인당 면적 0.305~0.335㎡였다. 같은 기종 진에어는 안장 폭 43.2㎝, 좌석간격 75㎝, 고객 1인당 면적 0.324㎡였고, 티웨이는 안장폭 43~44㎝, 좌석간격 73~76㎝, 고객 1인당 면적은 0.314~0.334㎡로 파악됐다.
180명이 타는 에어부산 A320-200은 안장폭 45.36㎝, 좌석간격 71.1~73.7㎝, 고객 1인당 면적 0.32~0.33㎡로 조사돼 비슷한 기종에서는 좌석간격이 가장 작았다. 복도 통로 간격이 제일 좁은 항공사는 티웨이 (B737-800 42.9㎝) 이었다. B737-8 기종도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최소치 기준 고객 1인당 좌석 면적은 제주항공이 가장 좁았다. 이어 티웨이·에어부산·진에어 순서로 뒤따랐다.
대당 좌석수가 200명을 초과하는 대형항공기의 경우 고객 1인당 면적 등이 상대적으로 넓었다. 비슷한 기종도 운행 항공사별로 안장 폭과 좌석간격, 통로간격, 고객 1인당 좌석 면적이 달랐다. 대형항공사일수록 고객 1인당 면적이 컸다.
최근 일부 항공사가 좌석수를 늘리면서 좌석의 넓이를 줄이는 계획을 수립했지만 정부와 국민의 반발 등으로 인해 취소하기도 했다.
국토부는 “항공기 좌석 간격이나 너비에 대한 구체적인 최소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항공기 인증 시 탈출 등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 좌석 수만 정하고 있어 항공사가 최대 좌석수 이내에서 좌석을 정해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준호 의원은 안장 폭과 좌석면적 등을 범위 기준으로 제출한 항공사에 대해서 각 항공기별 일반석 면적 수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공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밝혔다.
이어 정 의원은 “항공기별 좌석수와 좌석 면적은 항공사의 영업방침과 고객의 선택·시장 원리에 따라 운영되겠지만 항공기가 보편적인 교통수단이 되면서 고객의 이용편의성도 중요한 기준이 돼야 한다”며 “국토부는 고객의 항공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행정지도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여 말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정준호 “항공 일반석 면적조사 결과…제주항공·티웨이 가장 좁아”
기사입력:2025-09-28 22:57: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748.89 | ▲0.52 |
코스닥 | 859.54 | ▼5.87 |
코스피200 | 525.48 | ▲1.0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401,000 | ▼405,000 |
비트코인캐시 | 704,000 | ▼2,500 |
이더리움 | 5,914,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50 | ▼90 |
리플 | 3,576 | ▼12 |
퀀텀 | 2,925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511,000 | ▼420,000 |
이더리움 | 5,919,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60 | ▼90 |
메탈 | 746 | ▼6 |
리스크 | 331 | ▼4 |
리플 | 3,575 | ▼12 |
에이다 | 959 | ▼5 |
스팀 | 14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47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704,500 | ▼3,000 |
이더리움 | 5,92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40 | ▼90 |
리플 | 3,577 | ▼14 |
퀀텀 | 2,973 | ▲27 |
이오타 | 21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