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한화푸드테크 ‘더 플라자·63레스토랑 요리대회’ 개최 外

기사입력:2025-08-18 16:42:48
[로이슈 편도욱 기자] 한화푸드테크는 11일 더 플라자 다이아몬드 홀에서 ‘더 플라자·63레스토랑 요리 경연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경연대회는 더 플라자와 63레스토랑의 첫 통합 행사다. 소속 셰프들의 창의성과 조리 역량 강화를 위해 기획됐다. ▲도원 ▲세븐스퀘어 ▲블랑제리 더 플라자 ▲워킹온더클라우드 ▲터치더스카이 ▲슈치쿠 ▲백리향 ▲파빌리온 용산 등 11개 레스토랑 셰프들이 총 출동했다. 각 레스토랑 특성에 맞는 메뉴 개발을 주제로 45팀이 참가했고 이 가운데 20팀이 본선 무대에 올랐다.

본선 진출 팀은 ▲양식 6종 ▲중식 3종 ▲뷔페 5종 ▲디저트 4종을 선보였다. 맛과 디자인, 창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우수상 ▲우수상 ▲특별상 아이디어 부문 ▲특별상 플레이팅 부문 수상 팀에게 상장과 상금을 수여했다.

최우수상은 블랑제리 더 플라자 정원섭, 전준환 셰프의 ‘수건 케이크’가 차지했다. 호텔 수건에서 착안한 디저트 세트로 ▲블루베리 타월 ▲플레인 타월 ▲초코 타월 3종으로 구성했다. 블루베리 타월은 얇은 크레페에 블루베리 필링과 샌드 크림을 넣어 더 플라자 상징색인 보라색을 표현했다.

정 셰프는 “다른 셰프들의 출품작을 보면서 영감을 얻고 큰 동기부여가 됐다”며 “상을 받게 되어 기쁘고 앞으로도 메뉴 개발에 정진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수상은 터치더스카이 신혁, 문송원 셰프가 수상했다. ‘랍스터구이와 킹크랩 살사’는 부드럽게 조리한 킹크랩과 랍스터에 망고 살사와 사바용 소스를 곁들인 메뉴다. ‘트러플 감자파베와 능이오일 비프주를 곁들인 비프웰링턴’은 파이로 감싼 소고기에 트러플 감자파베와 모렐버섯 무스를 올려 풍미를 더했다. 두 메뉴 모두 터치더스카이 파인 다이닝 조리 방식을 적용해 섬세한 맛과 완성도를 구현했다.

특별상 아이디어 부문은 백리향 강원지, 박기원 셰프의 ‘표고버섯 푸아그라’다. 푸아그라에 표고버섯과 새우살, 마라 소스를 더해 맛과 영양, 식감을 고루 갖췄다. 플레이팅 부문은 파빌리온 용산 이선화 셰프의 ‘한화 감다살’이 선정됐다. 한화의 주황색을 모티브로 한 홍시 무스 케이크로 감의 다양한 식감을 살리기 위해 홍시와 감말랭이 등을 활용했다.

◆탈모샴푸 ‘그래비티’, 약국 판매 개시

KAIST 연구진이 설립한 폴리페놀 팩토리(대표 이해신)의 기능성 헤어케어 브랜드 그래비티가 약국판매채널의 입점 러브콜을 받아 8월 18일부터 약국에서 공식 판매에 들어간다.

첫 단계로 서울과 경기 수도권 주요 약국 50여 곳에서 판매를 시작하며, 연내 전국 단위로 취급 약국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래비티는 초기 마켓컬리, 무신사, 쿠팡 등 카테고리별 대표 온라인 쇼핑 채널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과학자가 만든 'KAIST 샴푸'로 입소문이 나면서 좋은 후기까지 이어졌고 채널마다 품귀 사태가 이어지며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플랫폼의 인기를 바탕으로 이마트를 통해 오프라인 진출도 진행하여, 팝업스토어 운영 당시에는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올 3월에는 올리브영에도 입점하여 론칭 당일 30여 분 만에 전 제품이 완판돼 올리브영 전체 상품 카테고리 1위에 올랐으며, 2024년 말부터 진행해온 롯데홈쇼핑에서는 회차당 평균 주문액 10억 원을 달성,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 15만 병이 판매됐다. 6월부터는 이스타항공 전 노선 기내 판매를 시작했다.

◆더핑크퐁컴퍼니 ‘베베핀 극장판’, 누적 20만 관객 돌파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대표 김민석)는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이하 ‘베베핀 극장판’)이 국내 누적 관객 20만 명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국내 흥행을 발판으로, 전 세계 11개국에서의 글로벌 개봉도 확정되며 글로벌 무대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베베핀 극장판’은 지난 7월 24일 국내 개봉 이후 2주 연속 박스오피스 TOP10에 오르며 키즈 애니메이션 장르의 한계를 넘어 안정적인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 무대인사, 굿즈 증정 상영회, 시그니처 응원봉 ‘별빛봉’을 활용한 ‘스탠딩콘’ 상영회 등 차별화된 이벤트와 SNS 후기를 통한 입소문이 주말은 물론 평일 관객까지 견인하며,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기준 누적 관객 20만 명을 돌파했다. 18일 누적 관객 수는 21만 188명으로, 특히 CGV 골든에그 지수 97%, 네이버 네티즌 평점 9.2점(10점 만점)을 기록하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또한 유아 관객층의 재관람 요청과 부모 세대의 공감 어린 후기가 더해지며, ‘베베핀 극장판’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세대 통합형 콘텐츠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포털 사이트 관람평에는 “2살 아이가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해서 본 영화였다”, “아이의 첫 극장 영화로 베베핀을 선택하길 잘했다”,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영화였다” 등 다양한 연령층의 호평이 잇따르고 있다.

‘베베핀’은 2022년 4월 첫 공개된 글로벌 IP(지식재산권)로, 따뜻한 감성의 스토리와 따라 부르기 쉬운 음악, 세련된 영상미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팬덤을 형성해 왔다.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로 미국을 포함한 11개국 넷플릭스 키즈 부문 1위, 25개국 Top10에 오르며 글로벌 흥행에 성공했으며, 유튜브에서는 공개 14개월 만에 다이아몬드 버튼을 획득했다. 현재 누적 구독자 6300만 명, 누적 조회수 370억 뷰를 기록하며, 핑크퐁과 아기상어를 잇는 차세대 IP로 성장 중이다. ‘베베핀 극장판’은 이러한 글로벌 팬덤과 콘텐츠 경쟁력에 힘입어, 브랜드 세계관을 스크린으로 확장한 첫 번째 극장판 프로젝트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7.28 ▼48.38
코스닥 798.05 ▼17.21
코스피200 429.19 ▼7.3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05,000 ▲40,000
비트코인캐시 792,500 ▲3,000
이더리움 6,06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0,040 ▲20
리플 4,276 ▲24
퀀텀 2,897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795,000 ▼109,000
이더리움 6,06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000 0
메탈 1,011 0
리스크 554 ▲1
리플 4,275 ▲21
에이다 1,276 ▼9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78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794,500 ▲5,000
이더리움 6,05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000 ▲10
리플 4,273 ▲20
퀀텀 2,862 0
이오타 28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