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BS한양이 경기 김포시 풍무역세권 도시개발사업 B2블록에 선보인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가 1순위 청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인기를 입증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11월 18일 실시된 1순위 청약 접수 결과 특별공급을 제외한 528세대 모집에 총 3534건이 접수돼 평균 6.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은 21세대 모집에 262건이 몰려 12.5대 1을 기록한 전용 59㎡B 타입에서 나왔다.
업계에서는 이 단지의 흥행이 충분히 예상 가능했다는 평가다. 풍무역과 사우동 생활권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듀얼생활권 입지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합리적 분양가, 우수한 상품 설계 등이 큰 호응을 얻었기 때문이다. 특히 풍무역세권에서 올해 분양 단지 중 유일하게 전용 59㎡ 타입을 갖춘 단지라는 점과 10.15 대책을 피한 비규제 단지라는 점에도 많은 관심이 이어졌다.
분양 관계자는 “풍무역세권은 서울과 가까운데다 가격 경쟁력과 비규제 프리미엄까지 더한 곳으로서 최근 뜨거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어 좋은 성적을 예상할 수 있었다”며 “특히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는 사우동의 인프라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단지이자 소형 타입까지 갖춘 단지로서 김포는 물론 서울 등 타 지역에서도 많은 관심이 이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대감이 청약 성적까지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향후 일정은 오는 25일 당첨자 발표에 이어 12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견본주택에서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한편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는 지하 2층~지상 29층, 10개동, 총 1071세대 규모로 조성되는 대단지다. 타입별 가구수는 ▲59㎡A 261세대 ▲59㎡B 60세대 ▲84㎡ 750세대 등이다. 전 세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판상형 4Bay 구조를 적용했으며, 올해 풍무역세권 분양 단지 중 유일하게 전용 59㎡ 소형 타입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각 세대에 드레스룸과 복도 팬트리 등으로 공간 활용도를 높였으며, 날씨에 상관 없이 농구, 풋살 등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 체육관을 포함한 커뮤니티 시설과 함께 테마형 조경시설 등을 단지 곳곳에 배치해 주거 만족도를 높였다.
입지적으로는 풍무역세권과 사우동 인프라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듀얼 생활권에 위치해 있다. 사우초·사우고를 비롯해 김포 최대 규모의 사우동 학원가를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김포시청과 법원, 대형병원, 홈플러스,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의 각종 편의시설이 인접해 입주 즉시 풍부한 생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또 풍무역과 사우역을 모두 도보로 이용할 수 있고 풍무역은 지하철 5호선 연장 사업이 추진 중이어서 향후 개통 시 마곡지구·여의도·광화문 등 서울 주요 업무지구로의 접근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분양가는 전용 59㎡타입이 5억원 초반부터 5억원 중반까지, 전용 84㎡타입은 6억원 중반부터 7억원 초반선으로 책정됐다. 인근 서울 마곡지구의 같은 면적 전셋값 수준이다. 여기에 10.15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이 강도 높은 규제로 묶인 가운데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는 비규제 단지로서 중도금 전액 대출이 가능해 젊은 실수요층을 중심으로 큰 관심이 모이고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BS한양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1순위 청약 경쟁률 ‘최고 12.5대 1’
기사입력:2025-11-20 10:44: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26 | ▼151.59 |
| 코스닥 | 863.95 | ▼27.99 |
| 코스피200 | 540.36 | ▼23.8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2,228,000 | ▼2,484,000 |
| 비트코인캐시 | 678,000 | ▼17,500 |
| 이더리움 | 3,990,000 | ▼8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380 | ▼320 |
| 리플 | 2,771 | ▼83 |
| 퀀텀 | 2,214 | ▼36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1,850,000 | ▼2,843,000 |
| 이더리움 | 3,971,000 | ▼10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340 | ▼380 |
| 메탈 | 570 | ▼17 |
| 리스크 | 261 | ▼5 |
| 리플 | 2,770 | ▼85 |
| 에이다 | 591 | ▼20 |
| 스팀 | 102 | ▼3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2,400,000 | ▼2,270,000 |
| 비트코인캐시 | 678,500 | ▼16,500 |
| 이더리움 | 3,995,000 | ▼8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330 | ▼420 |
| 리플 | 2,775 | ▼80 |
| 퀀텀 | 2,196 | ▼54 |
| 이오타 | 181 | ▲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