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시가 글로벌 인재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디지털노마드 시티 인천' 프로젝트를 공식화하고, 2026년 3월 출범을 예고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3,500만 명 규모로 급증하고 있는 이른바 '디지털 유목민(Digital Nomad)'을 전략적으로 품어 안아, 해외 인프라를 활용한 새로운 체류형 관광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이다.
1인당 550만 원 경제 효과! 체류 수요 선점이 핵심
시는 디지털노마드의 유치 당위성을 경제적 효과에서 찾고 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디지털노마드 1인당 생산 유발 효과는 550만 원에 달하며, 연간 소비 규모는 7,870억 달러로 추산된다. 외국인 관광 활동이 비교적 낮은 인천으로서는, 단순 방문객을 넘어 장기 체류형 수요를 확보하는 것이 지역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대만·일본 손잡고 아시아 허브 구축
인천시는 국내를 넘어 해외 네트워크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해외 협력으로는 대만 디지털노마드협회(TDNA) 및 일본 관민추진협의회(16개 지자체 참여) 등과 협력해 교류를 확대하고, '동남아 디지털노마드 연합회(가칭)' 결성도 주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 연계는 부산 등 국내 거점 도시와 공동으로 장기 체류 프로그램을 기획해 전국 단위 홍보 시너지를 창출한다.
일과 삶의 균형, 개항장·송도·영종에 인프라 집중
디지털노마드가 가장 필요로 하는 '업무와 생활' 인프라는 개항장, 송도, 영종 세 지역을 중심으로 확충된다. 업무 환경은 관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24시간 이용이 가능한 곳에 업무 공간을 제공하고, 재외동포웰컴센터, 글로벌캠퍼스 공유오피스 등 기존 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업무 지원을 강화한다.
숙소는 이 세 지역의 숙박시설과 협력하여 장기 체류에 최적화된 맞춤형 숙소를 마련하고 생활 편의는 외국인 생활 편의를 위해 24시간 무인환전기 등 정주 인프라도 확충될 예정이다.
축제와 문화로 ‘워케이션’ 매력 극대화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워케이션(Work+Vacation)의 매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문화 자원을 총동원한다. 인천 펜타포트 락페스티벌, 개항장 국가유산 야행 등 지역 대표 축제와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외국인들이 쉽게 인천의 문화에 적응하고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해외 기업 원격근무자, 온라인 프리랜서 등 만 18세 이상 외국 국적자 150명(반기별 50~100명씩 모집)을 초기 타겟으로 유치하며, 2026년 3월 공식 출범식에서 비전을 선포하고 글로벌 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처럼 체계적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개항장, 송도, 영종을 중심으로 숙소 및 업무 환경 인프라를 마련해 아시아의 디지털노마드 허브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인천, '디지털 유목민' 성지 꿈꾼다! 2026년 '디지털노마드 시티' 출범 선언
기사입력:2025-11-18 16:20: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26 | ▼151.59 |
| 코스닥 | 863.95 | ▼27.99 |
| 코스피200 | 540.36 | ▼23.8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4,505,000 | ▲872,000 |
| 비트코인캐시 | 695,000 | ▼2,500 |
| 이더리움 | 4,064,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780 | ▲290 |
| 리플 | 2,847 | ▼3 |
| 퀀텀 | 2,240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4,633,000 | ▲889,000 |
| 이더리움 | 4,074,000 | ▲2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790 | ▲240 |
| 메탈 | 587 | ▲8 |
| 리스크 | 266 | ▼2 |
| 리플 | 2,853 | ▼7 |
| 에이다 | 611 | ▲2 |
| 스팀 | 105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4,430,000 | ▲880,000 |
| 비트코인캐시 | 694,000 | ▼4,000 |
| 이더리움 | 4,067,000 | ▲2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19,770 | ▲240 |
| 리플 | 2,849 | ▼2 |
| 퀀텀 | 2,250 | 0 |
| 이오타 | 169 |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