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1,000가구 규모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들은 스테디셀러로 불린다. 대단지 아파트는 넓은 부지의 이점을 살린 조경 특화는 물론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다채로운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 및 주거 서비스를 갖췄기 때문이다.
대단지 아파트는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져 환금성이 높다. 특히, 실거래가 꾸준히 이어지는 만큼 기준 가격이 명확해 부동산 하락기에는 가격 방어에 유리하며, 상승기에는 시세 상승을 주도한다는 이점도 있다. 이에 대단지 아파트는 한 지역의 시세를 선도하며, 대표단지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에 위치한 1,122가구 규모의 대단지 ‘상도 더샵 1차(2007년 준공)’ 전용 59㎡는 지난 9월 15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하였는데, 맞닿은 582가구 규모의 ‘상도 두산위브트레지움 2차(2016년 준공)’ 전용 59㎡의 매매가인 14억9,500만원에 거래되었다. 동일한 입지 여건에 약 8년이라는 연식 차이에도 500만원 높게 거래된 것이다. 인천시 서구 당하동 소재 1,122가구 규모의 ‘검단 파라곤 센트럴파크(2022년 준공)’ 전용 84㎡도 이달 6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동일한 연식과 입지를 갖춘 ‘호반써밋프라임뷰’ 전용 84㎡ 5억7,800만원 대비 18% 높았다.
수도권 대단지 아파트의 강세는 분양시장 내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서 가장 높은 청약 평균 경쟁률을 기록한 신규 분양 단지는 ‘검단호수공원역 중흥S-클래스(14 대 1)’와 ‘동탄 포레파크 자연앤 푸르지오(75 대 1)’로 모두 1,000가구 이상 대단지였다. 서울의 경우 1,865가구 규모의 대단지 ‘잠실 르엘’ 1순위 110가구 모집에 무려 69,476명이 청약을 접수하며 632 대 1의 경쟁률로 마감했으며,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430 대 1)’, ‘래미안 원페를라(152 대 1)’ 등 올해 분양에 나선 4개 단지가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완판에 성공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의 특성상 신규 택지지구나 대규모 주공 아파트 등 재건축이 아닌 이상 대단지 아파트가 조성되기 어려운 만큼 희소성이 높다”며 “대단지의 경우 규모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커뮤니티와 서비스, 쾌적한 단지 내 조경 등 뛰어난 주거 환경을 갖춰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많은 거래량이 뒷받침돼 한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아파트로 거듭나 부동산 시장 내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연내 수도권 지역에 대단지 아파트의 분양이 이어질 예정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공공분양 제외) 14개 단지 총 1만5,267가구가 일반에 분양될 예정이다.
GS건설이 이달 경기도 오산시 내삼미2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 A1블럭에 분양에 나서는 ‘북오산자이 리버블시티’는 지하 2층~지상 29층, 10개동, 전용면적 59~127㎡ 총 1,275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는 GS건설이 추후 공급계획에 있는 A2블럭과 함께 총 2,792가구의 자이 브랜드 타운을 형성할 전망이다. 단지는 대단지의 이점을 극대화한 넓은 동간 거리와 남향 판상형 위주의 설계로 채광과 통풍이 뛰어나며, 가구 당 1.5대의 넉넉한 주차공간도 마련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에 반포아파트 제3주구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선보이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를 분양 중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17개동, 총 2,091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전용면적 59~84㎡ 총 506가구가 일반 분양 물량이다.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은 이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학익·1블록 도시개발구역 공동 2BL에서 ‘시티오씨엘 8단지’를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46층, 7개동, 전용면적 59~136㎡ 총 1,349가구로 구성된다. 단지는 수인분당선 학익역(예정)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으며, 한 정거장 거리의 송도역에는 인천발 KTX(예정) 등이 개통 예정돼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대단지 기다렸다면 기회’…연내 수도권 1만5천가구 공급
기사입력:2025-11-12 12:00: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11.57 | ▼159.06 |
| 코스닥 | 897.90 | ▼20.47 |
| 코스피200 | 563.43 | ▼25.22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4,999,000 | ▲232,000 |
| 비트코인캐시 | 763,000 | ▼1,500 |
| 이더리움 | 4,841,000 | ▲1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270 | ▲70 |
| 리플 | 3,411 | ▲9 |
| 퀀텀 | 2,658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4,970,000 | ▲61,000 |
| 이더리움 | 4,845,000 | ▲2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260 | ▲70 |
| 메탈 | 673 | ▲7 |
| 리스크 | 407 | ▲4 |
| 리플 | 3,410 | ▲8 |
| 에이다 | 769 | ▲3 |
| 스팀 | 120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44,910,000 | ▲150,000 |
| 비트코인캐시 | 762,500 | ▼3,500 |
| 이더리움 | 4,845,000 | ▲2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250 | ▲60 |
| 리플 | 3,409 | ▲10 |
| 퀀텀 | 2,618 | 0 |
| 이오타 | 205 | ▲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