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이대서울병원(병원장 주웅)은 본원 외과(대장항문외과) 노경태 교수가 지난 10월 23일 다빈치 SP 로봇 시스템을 이용해 대장수술 300례를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국내 대장항문외과 분야에서 로봇수술의 정밀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은 배꼽절개 후 하나의 구멍에 로봇 팔이 진입해 대장암, 염증성 대장질환 등을 치료하는 수술법이다. 기존의 개복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에 비해 상처 부위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2019년 이대서울병원에 다빈치 로봇수술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노 교수는 국내 최초로 다빈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을 시행했으며, 대장암-간 전이암 동시 수술 등 고난도 수술을 개발 및 시행해왔다.
특히 노 교수는 로봇의 3D 고화질 영상과 다관절 로봇팔을 이용해 최소 절개로 복잡한 병변을 정밀하게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 또한, 대한대장항문학회 학술위원회, 대한내시경로봇외과학회 교육위원회 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는 등 단일공 로봇수술 분야의 떠오르는 외과의로,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300례 달성은 국내 최초이자 최다 기록으로 이를 통해 노경태 교수는 현재 국내외에서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을 가장 많이 시행한 외과의로 인정받았다.
노경태 교수는 “대장암 수술 부위는 신경과 혈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기존 복강경 수술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며 “다빈치 SP 단일공 로봇수술은 약 3cm의 최소 절개만으로 10배 이상 확대된 3D 입체 영상 속에서 정교하게 수술할 수 있어 출혈과 통증을 최소화하고 회복을 빠르게 돕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다빈치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은 환자들이 더 안전하고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치료 환경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재입원율과 합병증 발생률 감소, 짧아진 입원 기간은 환자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노경태 교수는 단일공 로봇수술과 단일공 복강경 수술 비교한 ‘대장암 수술에서 싱글포트 로봇 수술 vs 싱글포트 복강경 수술: 다기관 매칭 코호트 분석을 통한 단기 결과 비교(Short-term outcomes of single-port robotic surgery versus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for colon cancer: a multicenter matched-cohort analysis)’ 다기관 연구를 통해 단일공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수술 중 출혈량이 적고, 회복 속도가 빠르며, 입원 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복강경-로봇수술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Surgical Endoscopy에 게재됐다. 이런 성과는 환자의 빠른 일상 복귀를 돕는 것은 물론, 의료비 절감 등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에도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노경태 이대서울병원 교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
기사입력:2025-11-07 15:25: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53.76 | ▼72.69 |
| 코스닥 | 876.81 | ▼21.36 |
| 코스피200 | 557.98 | ▼10.4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398,000 | ▼923,000 |
| 비트코인캐시 | 722,500 | ▼7,000 |
| 이더리움 | 4,898,000 | ▼4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150 | ▼360 |
| 리플 | 3,265 | ▼40 |
| 퀀텀 | 2,711 | ▼29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268,000 | ▼1,131,000 |
| 이더리움 | 4,895,000 | ▼4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140 | ▼370 |
| 메탈 | 650 | ▼4 |
| 리스크 | 283 | ▼2 |
| 리플 | 3,263 | ▼43 |
| 에이다 | 798 | ▼12 |
| 스팀 | 120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0,330,000 | ▼970,000 |
| 비트코인캐시 | 723,000 | ▼7,000 |
| 이더리움 | 4,895,000 | ▼4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170 | ▼300 |
| 리플 | 3,263 | ▼39 |
| 퀀텀 | 2,727 | 0 |
| 이오타 | 196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