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현대건설이 공동주택 분야에서 업계 최초로 AI 헬스케어 챗봇을 적용한 ‘스마트의료 기반 원격건강관리 솔루션’을 구축, 주거공간 내 헬스케어 서비스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현대건설은 원격의료 솔루션 전문기업 ‘솔닥’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주택 입주민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공동 개발한다고 5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건설사 특성에 최적화된 건강관리 솔루션 ▲AI 챗봇 기반의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 ▲헬스케어 데이터 연계 서비스 모델 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여 디에이치만의 특화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마이디에이치’ 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주거 생태계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최근 현대건설은 네오리빙(NEO LIVING)이라는 토털 주거솔루션을 론칭해 공간·서비스·기술, 운영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지환경의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네오리빙이 지향하는 “살수록 건강해지는 집(Health Sync)”, “삶의 품격을 높이는 집(Elevating)”, “일상이 최적화되는 집(Seamless)”의 방향 중 현대건설은 고객의 관심도가 ‘건강’에 가장 높은 점에 주목, 관련 신규 아이템의 개발에 집중해 왔다. 이번 협력은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으로, 거주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이 증진되는 집의 효용을 한층 강화해 입주민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스마트의료 기반 원격건강관리 솔루션’은 입주민의 건강 데이터와 라이프스타일를 통합 분석해 AI 챗봇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 상담 및 솔닥의 원격의료 플랫폼과 연계한 비대면 진료 연계 콘텐츠를 ‘마이디에이치’ 앱을 통해 제공한다. 또 단지 내 설치된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 입주민 맞춤형 건강 리포트를 제공함으로써, 거주 공간 자체가 하나의 헬스케어 인프라로 기능하도록 설계했다.
이와 함께 이번 솔루션은 고령 입주민을 위한 건강 돌봄 서비스로서의 역할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AI 헬스케어 챗봇은 비대면진료 서비스와 직접 연계돼 고령층 입주민이 복잡한 절차 없이도 간편하게 의료 상담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정기적인 건강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의료 상담이 필요한 시점을 자동으로 안내하거나, 솔닥의 원격의료 플랫폼과 연결해 전문의 상담 예약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지원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주거 서비스의 핵심이 ‘삶의 질’로 이동함에 따라, 이번 협업을 통해 입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첨단 맞춤형 건강관리를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건설업계의 헬스케어 분야를 선도하며 차별화된 주거 서비스를 통해 ‘라이프테크(Life-Tech)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현대건설, 건설업계 최초 공동주택 내 ‘헬스케어 특화 AI 챗봇’ 적용
기사입력:2025-11-05 09:56:1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04.42 | ▼117.32 |
| 코스닥 | 901.89 | ▼24.68 |
| 코스피200 | 565.40 | ▼16.5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4,938,000 | ▼5,000 |
| 비트코인캐시 | 733,000 | ▲4,500 |
| 이더리움 | 5,126,000 | ▼2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20 | ▲110 |
| 리플 | 3,511 | ▲3 |
| 퀀텀 | 2,642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4,965,000 | ▼35,000 |
| 이더리움 | 5,127,000 | ▼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30 | ▲170 |
| 메탈 | 628 | ▲2 |
| 리스크 | 271 | ▲1 |
| 리플 | 3,511 | ▲4 |
| 에이다 | 818 | ▲6 |
| 스팀 | 116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4,860,000 | ▲10,000 |
| 비트코인캐시 | 733,500 | ▲6,000 |
| 이더리움 | 5,125,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20 | ▲180 |
| 리플 | 3,511 | ▲6 |
| 퀀텀 | 2,634 | 0 |
| 이오타 | 195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