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따뜻한 공기와 함께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요즘, 꽃가루와 미세먼지 등 환경 변화로 눈이 가렵고 충혈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런 증상을 피로나 일시적인 자극으로 여겨 방치하기 쉽지만, 반복될 경우 면역계의 과잉 반응으로 생기는 ‘알레르기 결막염’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눈 조직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결막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안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꽃가루, 집먼지, 동물의 비듬, 미세먼지 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인 알레르겐(Allergen)에 쉽게 노출돼 민감하게 반응한다. 항원이 결막을 자극할 경우 비만세포나 호산구 등 면역세포가 활성화돼 히스타민(Histamine) 등의 염증 유발 물질이 분비되고, 눈 가려움, 충혈, 붓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백진욱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결막은 단단한 보호막이 아니라 매우 민감한 면역 센서”라며 “작은 자극에도 눈 가려움, 충혈, 눈물, 이물감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결코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고 말했다.
요즘 같은 시기에 많이 나타나는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은 주로 4~6월에 발생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꽃가루, 미세먼지, 황사 등이 있다. 반면 통년성 알레르기 결막염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동물의 비듬이나 털 등 실내 환경 요인에 의해 사계절 내내 증상이 지속된다. 이 중 약 80%는 특정 계절에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외에도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경우 ‘아토피 각결막염’이 동반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알레르기 반응을 넘어, 백내장, 원추각막(각막 돌출), 망막박리 등 심각한 안과 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어,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정밀 진료가 필요하다.
백진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눈이 가렵고 충혈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도 특별한 이유를 알 수 없는 경우 생활환경을 돌아봐야 한다”며 “계절의 영향, 반려동물 접촉, 침구 정리 후에도 증상이 계속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알레르기 결막염 진단은 먼저 병력 청취를 통해 가족 중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지, 증상이 언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후 세극등(Slit Lamp) 현미경 검사를 통해 결막, 각막 등을 확대 관찰해 결막 부종과 충혈, 유두 비대 등 알레르기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신적 알레르기 검사, 결막 찰과 검사, 결막 유발 검사, IgE(Immunoglobulin E) 항체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히스타민의 작용을 차단해 가려움, 충혈, 부종 등의 증상을 빠르게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증상이 반복되거나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비만세포 안정제(Mast Cell Stabilizer)를 함께 사용한다. 히스타민 분비 자체를 억제해 증상 발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항히스타민과 비만세포 안정제의 효과를 겸비한 약제들이 개발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증상이 심하거나 급성 염증 반응이 나타난 환자에게는 스테로이드 점안제(Steroid Eye Drops)를 단기간 사용하기도 한다. 경미한 증상에는 충혈과 결막 부종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혈관수축제가 쓰인다. 단, 혈관수축제는 사용을 중단했을 때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는 반동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예방법으로는 알레르겐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는 외출 시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귀가 후에는 세안과 샤워로 눈 주변의 항원을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좋다. 침구류와 커튼은 주기적으로 세탁해야 한다. 습도를 낮게 유지하고, 짧은 환기와 공기청정기 사용도 도움이 된다.
소금물로 눈을 씻는 민간요법은 결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해야 하고, 눈을 반복적으로 비비는 행위도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또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 중일 경우 음주는 부작용 위험이 있어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진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는 “눈은 외부 환경에 항상 노출돼 있어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알레르기 결막염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증상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삶의 질 저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계절 변화에 눈 가려움·충혈... ‘알레르기 결막염’ 주의보
기사입력:2025-04-30 15:46: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06,000 | ▲177,000 |
비트코인캐시 | 523,000 | ▲500 |
이더리움 | 2,551,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60 | ▲100 |
리플 | 3,129 | ▲8 |
이오스 | 970 | ▲13 |
퀀텀 | 3,069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56,000 | ▲290,000 |
이더리움 | 2,553,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30 | ▲40 |
메탈 | 1,194 | ▲5 |
리스크 | 766 | ▼1 |
리플 | 3,130 | ▲6 |
에이다 | 980 | 0 |
스팀 | 215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79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22,500 | ▲500 |
이더리움 | 2,552,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50 |
리플 | 3,130 | ▲9 |
퀀텀 | 3,065 | ▲48 |
이오타 | 29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