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고등법원은 청구인은 고등군사법원에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2 제2항에 대해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였으나 기각되자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따른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고, 헌법재판소로부터 위 조항에 대한 단순위헌결정을 받았을시 비용보상청구에 대한 재심에 대해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의 효력은 위헌제청을 한 당해 사건에 미치므로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2 제2항은 청구인의 비용보상청구에 적용될 수 없으므로, 재심대상결정의 비용보상청구 시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4에서 준용하는 형사보상 및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제8조의 청구기간을 준수하였다면 비용보상청구는 적법하다며 재심대상결정 취소, 비용보상청구 일부 인용 판결을 내렸다.
서울고등법원은 제20형사부는 지난 9월, 25일, 이같이 판결했다.
사안의 개요는 청구인은 고등군사법원에서 무죄확정판결을 받아 위 법원에 비용보상을 청구하였으나 구 군사법원법(2009. 12. 29. 법률 제9841호로 개정되고 2020. 6. 9. 법률 제173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27조의12 제2항에 따라 무죄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6개월을 도과하였다는 이유로 비용보상청구가 각하되고 청구인은 고등군사법원에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2 제2항에 대하여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였으나 기각되자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따른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고, 헌법재판소로부터 위 조항에 대한 단순위헌결정을 받았다.
청구인은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7항에 따라 비용보상결정에 대한 재심을 청구했다.
법률적 쟁점은 고등군사법원의 비용보상결정에 대한 재심관할법원인 서울고등법원이고 비용보상결정에 대하여도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다.
또한 단순위헌결정에 따른 효력이 당해 사건에서 소급적으로 발생하는지 여부다.
법원의 판단은 군사법원법 제10조가 2021. 9. 24. 법률 제18465호로 개정되어 보통군사법원의 판결에 대한 항소사건에서 무죄판결을 한 고등군사법원의 비용보상결정의 재심관할은 서울고등법원에 있다.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7항은 ‘제68조 제2항에 따른 헌법소원이 인용된 경우에 해당 헌법소원과 관련된 소송사건이 이미 확정된 때에는 당사자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8항은 ‘제7항에 따른 재심에서 형사사건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을 준용하고, 그 외의 사건에 대하여는 민사소송법을 준용한다’고 정하고 있음.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4에서 준용되는 형사보상 및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따라 비용보상절차에 대한 재심은 형사소송법이 준용되므로, 청구인은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8항에서 준용하는 형사소송법 제420조에 따라 비용보상결정에 대한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이에 법원은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의 효력은 위헌제청을 한 당해 사건에 미치므로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2 제2항은 청구인의 비용보상청구에 적용될 수 없으므로, 재심대상결정의 비용보상청구 시 구 군사법원법 제227조의14에서 준용하는 형사보상 및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제8조의 청구기간을 준수하였다면 비용보상청구는 적법하다며 재심대상결정 취소, 비용보상청구 일부 인용 판결을 내렸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서울고법 판결]헌법소원심판 청구하고, 헌법재판소로부터 위 조항에 대한 단순위헌결정을 받았을시 비용보상청구에 대한 재심에 대해
기사입력:2024-11-04 17:04:3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43.13 | ▲6.03 |
코스닥 | 719.41 | ▼5.74 |
코스피200 | 355.18 | ▲1.6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4,500,000 | ▲22,000 |
비트코인캐시 | 481,300 | ▲1,300 |
비트코인골드 | 4,508 | ▲34 |
이더리움 | 2,93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360 | ▲50 |
리플 | 3,546 | ▲7 |
이오스 | 818 | ▲6 |
퀀텀 | 3,217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4,600,000 | ▲5,000 |
이더리움 | 2,938,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370 | ▲50 |
메탈 | 1,150 | ▲16 |
리스크 | 838 | ▲12 |
리플 | 3,548 | ▲8 |
에이다 | 1,050 | ▲2 |
스팀 | 203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4,56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480,900 | ▲1,100 |
비트코인골드 | 3,520 | ▼160 |
이더리움 | 2,939,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280 | ▼60 |
리플 | 3,547 | ▲6 |
퀀텀 | 3,192 | 0 |
이오타 | 265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