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대응해 범국가적 정책을 수립하고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도약키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Korea AI Forum) 창립총회 및 기념 세미나가 26일 국회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포럼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성일종 (서산·태안) 국회의원이 공동대표로 나서서 초당적인 협력을 통해 주최했으며 서울대 AI연구원과 한국 사회과학자료원이 주관을 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행사엔 우원식 국회의장·포럼 공동대표인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비롯한 많은 국회의원들과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AI 산업의 미래에 대해 토론했다.
이 자리에 참석자들은 범국가적 AI 산업을 육성하고 자유로운 기술 진흥과 최소한의 합리적인 규제가 조화되는 AI 생태계를 조성키 위해 (국회·산업계·학계·정부) 등이 협력해야 한다는 데에 뜻을 같이했다.
개회사에서 박찬대 공동대표는 "AI는 이제 단순한 컴퓨터 공학 기술이 아닌 사회 전반의 변화를 이끄는 바탕이자 미래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대한 요소다"며 "향후 몇 년이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대한민국의 지위와 중요성을 가늠하는 (골든타임이) 될 것이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박 공동대표는 "국회가 초당적 협력으로 우리의 (현실·강점·잠재력) 등을 고려한 정책 방안을 모색해 AI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조성코자 한다"며 "게다가 AI 기본법 제정을 통해 산업진흥과 규제 간 조화를 이루는 국가 AI 거버넌스를 확립코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환영사에서 성일종 공동대표는 "AI 기술은 우리 일상생활을 혁신할 뿐만 아니라 (국가·기술) 안보와도 직결돼 있다"며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은 국가 미래를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그러면서 "(여야·정부·민간·학계) 모두 힘을 합쳐 협력해야 할 중차대한 시점에 Korea AI Forum이 출범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기조 강연에 나선 이정동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교수는 “AI 범용기술의 확산과 생산성은 응용 분야의 활성화 수준에 연동된다”며 “GPT 진화 및 AI 인프라를 선도할 수 있는 국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주제를 발표한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생성형 AI 기술에 의한 산업 생태계 변화상을 폭넓게 예측하고 국내외 AI 기업 분석을 통해 AI기반 기술과 산업별 AI 융합에 대한 범국가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발표를 통해 AI 생태계 구축의 골든타임을 향후 2~3년으로 내다본다며 AI 인프라 투자 및 접근성 제고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고 시장 개방을 통한 경쟁력 향상이 수반돼야 한다고 피력하기도 했다.
또한 포럼 공동운영위원장인 김석호 한국 사회과학자료원장은 "AI가 우리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AI 기술 진흥을 장려하면서도 급속한 발전에 뒤따른 부작용을 관리하고 규제할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AI 기본법이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원활히 제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포럼의 기본 목표다"고 밝혔다.
그래서 김 원장은 "대(大) AI 시대에 기술이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책임감 있는 태도로 접근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Korea AI Forum 창립총회 및 기념 세미나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됐으며 초당적 협력과 범국가적 노력이 결집된 의미있는 자리였던 것으로 읽힌다.
끝으로 Korea AI Forum 회원은 박찬대·성일종·우원식·강선영·고동진· 권성동·권영세·김기표·김남희·노종면·박수민·박희승·배준영·손명수·송재봉·안도걸·염태영·위성락·유용원·윤상현·이병진·이성권·이인선·이훈기·임종득·장종태·정성호·정진욱·조계원·최민희·최보윤·최수진·최형두·한준호·허종식·홍기원·황정아 국회의원 등 37명이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성일종 의원 “Korea AI Forum 창립…글로벌 AI패권 노린다”
성일종 공동대표 “여야 초당적 협력…AI 선도국 도약할 초석 마련” 기사입력:2024-08-26 18:25: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866,000 | ▼83,000 |
비트코인캐시 | 541,500 | ▼500 |
이더리움 | 2,625,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30 | ▼80 |
리플 | 3,162 | ▼21 |
이오스 | 1,064 | ▲2 |
퀀텀 | 3,131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833,000 | ▼124,000 |
이더리움 | 2,62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50 | ▼100 |
메탈 | 1,199 | ▲3 |
리스크 | 776 | 0 |
리플 | 3,166 | ▼17 |
에이다 | 1,009 | ▼8 |
스팀 | 21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80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540,500 | ▼1,500 |
이더리움 | 2,624,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100 |
리플 | 3,164 | ▼18 |
퀀텀 | 3,138 | 0 |
이오타 | 310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