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6월 12일에서 13일까지 만18세 이상 전국 패널 1,032명을 대상으로 ‘의료 대란 사태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7일 밝혔다.
먼저 ‘최근 의료 파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반대한다(국민의 건강권을 침해한다)’고 응답한 비율(77.3%)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찬성한다(직업인으로서 의사들의 권리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14.8%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7.8%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대에서 의사 파업에 반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연령대 별로는 ‘의료 파업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72.6%, 30대 73.0%, 40대 78.5%, 50대 79.6%, 60대 81.5% 등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의료 파업에 반대하는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의사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파업 투쟁을 한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7%는 ‘의사들의 기득권 지키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그다음으로 정부의 일방적 의사결정 반대(20.3%)’, ‘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조치(8.1%)’, ‘의대 수업의 질 저하 방지(4.1%)등 다른 원인도 지적되었지만,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의료 파업으로 본인 또는 가족이 어려움을 겪으셨나요?’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0.3%는 의료 파업으로 인해 본인 또는 가족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변했다. 어려움을 겪은 응답자 중 가장 흔한 경험은 병원 방문 자제 또는 연기(28.8%), ‘진료 시 불편을 겪었다(26.3%).’ 등이었다. ‘응급 치료를 받지 못했다’는 응답자도 5.2%로 의료 대란으로 인해 국민들의 피해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25년 의대 정원 확대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6.0%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의료계 의견을 반영해 조정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28.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제3의 기관이 중재하여 해결해야 한다(13.0)’는 의견도 있었다. ‘현재 의대 정원 규모 유지해야 한다(5.5%)’는 의견은 매우 낮았다.
‘의료 파업의 가장 큰 부작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58.0%)는 가장 큰 부작용은 ‘국민들의 건강권 침해'라고 응답했다. 그다음으로 '의료 시스템의 불안정성 야기(15.4%)', ‘해결책 제시 없이 파업 강행(12.7%)’, ‘사회적 갈등 심화(8.5%), ‘의대 입시생들의 혼란 가중(2.9%)’ 등의 순이었다.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의료 파업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나 적시성의 문제를 경험했고, 이에 따라 건강권이 침해 또는 제한되는 것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장기간의 의료 파업이 전반적인 의료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또 국민 대다수는 정부와 의료계가 국민들의 건강권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열린 대화를 통해 의대 입시 증원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설문의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18세 이상 전국 패널 회원 총 1,032명(남자 600명, 여자 432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05 %포인트이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 근본 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 ‘최근 의료 파업’에 반대(77.3%) 의견이 압도적- 의료 파업 근본 원인은 의사들의 기득권 지키기 63.7%
- 응답자의 60.3%가 의료 대란으로 불편 겪어
- 2025년 의대 정원은 정부안대로 46.0% 찬성
- 의료 파업의 가장 큰 부작용은 국민 건강권 침해 58.0% 기사입력:2024-06-17 16:32:3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91,000 | ▲844,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6,500 |
이더리움 | 2,677,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60 |
리플 | 3,230 | ▲18 |
이오스 | 987 | ▲8 |
퀀텀 | 3,164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79,000 | ▲944,000 |
이더리움 | 2,680,000 | ▲2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70 | ▲120 |
메탈 | 1,217 | ▲2 |
리스크 | 792 | ▲2 |
리플 | 3,233 | ▲19 |
에이다 | 1,015 | ▲3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40,000 | ▲760,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5,500 |
이더리움 | 2,682,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80 | ▲140 |
리플 | 3,236 | ▲24 |
퀀텀 | 3,165 | ▲27 |
이오타 | 310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