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The 경기패스(더 경기패스)’ 가입자가 사업 시작 20일 만에 53만명을 넘어섰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5월 20일 오후 기준 The 경기패스가 연계된 국토교통부의 K-패스 전국 가입자 수는 13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The 경기패스 가입자는 53만명이다.
The 경기패스 가입자 53만명 중 신규 가입자는 23만명, 기존 알뜰교통카드 전환자는 30만명이다. The 경기패스의 신규 가입자 수(23만명)는 K-패스 전체 신규 가입자(45만명)의 50%를 넘는다.
The 경기패스 가입자가 당초 예상보다 급증하며 도민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자, 道는 더 많은 도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김상수 교통국장 주재로 31개 시·군 과장급 회의를 23일에 개최했다.
김상수 교통국장은 먼저 ‘The 경기패스’ 사업 추진 현황 및 시군별 가입자 현황을 설명하고, 경기도에서 자체적으로 진행 중인 홍보 활동을 소개했다. 이후 의정부, 남양주, 부천 등 3개 시의 홍보 우수 사례를 안내했다.
3개 시는 자체적으로 유튜브, 누리집, 동 행정복지센터, 경전철 행선 안내 전광판 등을 통해 The 경기패스를 알리기 위해 노력했으며 직원이 직접 유튜브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김 국장은 31개 시·군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지속적인 가입자수 확대를 위해서는 일선 현장에서의 대민 홍보가 중요한 만큼, 각 시군이 개별적으로 관내 주민센터, 버스정류소, 지하철역사 등을 활용한 자체 홍보활동을 추진하고,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상담창구 운영 등을 당부했다.
또한, 당초 예상 대비 가입자 수 증가에 따른 추경 편성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각 시·군이 제때에 예산 확보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The 경기패스의 가입자가 급증함에 따라 시·군의 협조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니 다 같이 힘을 모으고 협력하여 모든 도민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The 경기패스는 K-패스의 월 60회 한도를 무제한으로 확대하고, 매달 대중교통 비용의 20%(20·30대 청년 30%, 40대 이상 일반 20%, 저소득층 53%)를 환급해 준다. 30% 환급 대상인 청년의 기준도 19~34세에서 19~39세까지 확대했다.
사업 대상이 아닌 어린이와 청소년의 교통비 절감을 위해 연간 24만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신청도 지난 2일부터 받고 있다.
The 경기패스 이용을 원하는 도민은 K-패스 누리집 또는 각 카드사(신한, KB국민, NH농협, 우리, 하나, 삼성, 현대, BC, IBK기업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이동의즐거움, DGB 유페이) 누리집을 통해 K-패스 전용 카드(신용/체크카드 등)를 발급받거나, 도내 편의점에서 K-패스 선불형 교통카드를 구입 후 K-패스 누리집에서 회원가입을 하면 된다. 회원가입 시 자동으로 주소지 검증 절차를 진행하며, 경기도민임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The 경기패스 혜택이 적용된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경기도, ‘The 경기패스’ 가입자 53만명 돌파
31개 시군과 함께 이룬 성과···원활한 추진 위한 시군 협조 요청 기사입력:2024-05-23 16:38:3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664,000 | ▲348,000 |
비트코인캐시 | 578,000 | ▲5,000 |
이더리움 | 3,285,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90 | ▲130 |
리플 | 3,361 | ▲57 |
이오스 | 1,197 | ▲6 |
퀀텀 | 3,433 | ▲4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517,000 | ▲254,000 |
이더리움 | 3,281,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80 | ▲140 |
메탈 | 1,259 | ▼5 |
리스크 | 760 | ▲7 |
리플 | 3,358 | ▲53 |
에이다 | 1,113 | ▲18 |
스팀 | 21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59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578,500 | ▲7,000 |
이더리움 | 3,28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00 | ▲160 |
리플 | 3,363 | ▲57 |
퀀텀 | 3,434 | ▲33 |
이오타 | 33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