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간공간 활용 ‘생활밀착형 청년공간 사업’ 신설

“우리동네 카페·공방 등이 청년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됩니다” 기사입력:2024-05-22 16:06:35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카페와 공방 등 민간공간을 적극 활용해 청년들의 접근성이 높은 활동 공간을 대폭 확보하는 내용의 ‘경기도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을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한다.

경기도는 사전 공모를 통해 용인시 등 14개 시군을 선정해 해당 시군에서 약 100개소의 ‘경기도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을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기존에는 도비 또는 시군비를 지원해 별도 조성한 청년공간이 총 41개소(도비 지원 21개소 포함) 있다. 이곳에서는 스터디룸, 창작·휴식, 취·창업, 동아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난해 약 43만명이 이용했다.
도는 이런 기존 청년공간 외 청년들의 생활반경 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선호도가 높은 카페, 공방 등 민간의 공간을 청년공간으로 추가 활용하기로 했다. 약 100개소의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이 들어설 14개 시군은 용인시, 고양시, 화성시, 남양주시, 안산시, 평택시, 의정부시, 광주시, 하남시, 양주시, 구리시, 안성시, 양평군, 동두천시다.

도비 100%로 약 3억원을 투입해 민간 사업장의 공간 일부를 청년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창작·휴식, 취·창업, 동아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다.

시군별로 운영 시기·방법 등은 다르지만 주소지 시군 누리집 등을 통해 청년들이 예약해 개인 또는 단체로 사용하면 된다. 해당 공간에서 청년들이 선호하는 취미·동아리 활동 등에도 참여할 수 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시군에 있는 청년공간이 멀어서 이용하지 못했던 청년들이 있었다면 가까운 곳에 있는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을 편하게 방문해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 보길 기대한다” 라며 “작지만 강한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많은 청년들과 공간 운영자들이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생활밀착형 청년공간 사업이 인구톡톡위원회에서 밝힌 경기도 저출생 정책 브랜드인 ‘러브아이 프로젝트’에 포함해 청년들의 자연스러운 만남의 장소로도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58.42 ▲3.53
코스닥 862.19 ▼9.14
코스피200 376.00 ▲1.2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782,000 ▼152,000
비트코인캐시 606,500 ▼3,500
비트코인골드 40,100 ▼150
이더리움 5,04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6,100 ▼170
리플 693 0
이오스 935 ▼2
퀀텀 4,150 ▼2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849,000 ▼102,000
이더리움 5,045,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6,140 ▼130
메탈 1,766 ▲12
리스크 1,585 ▼17
리플 693 ▼0
에이다 585 ▼2
스팀 31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3,781,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07,000 ▼2,000
비트코인골드 39,380 0
이더리움 5,041,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6,100 ▼140
리플 693 ▲0
퀀텀 4,171 0
이오타 26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