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판결] 사실혼 배우자에게 숨진 배우자 재산 상속 권리 부여 않은 민법 조항, '합헌'

기사입력:2024-04-02 15:32:50
헌법재판소 로비 전경.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 로비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헌재가 사실혼 배우자에게 숨진 배우자의 재산을 상속받을 법적인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 현행 민법이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헌법재판소는 사실혼 배우자의 상속권을 인정하지 않은 민법 제1003조 제1항 중 '배우자' 부분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지난달 28일 합헌 결정을 내렸다고 2일, 밝혔다.

A 씨는 사실혼 배우자와 11년간 함께 살다가 2018년 망인이 사망함에 따라 사별했고 법원에서도 사실혼 관계를 인정받았다.

민법 제1003조는 배우자가 망인의 부모나 자녀(직계존·비속)와 같은 수준의 상속권을 갖고 법이 정한 비율만큼 유류분(재산)을 물려받을 수 있다고 정한다. 직계 존속이나 비속이 없으면 배우자가 단독 상속권을 갖게 돼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배우자는 법률혼 배우자일 뿐 A 씨와 같은 사실혼 배우자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망인의 재산은 법정상속인인 형제자매 등에게 돌아갔다.

이에 A 씨는 법정상속인들을 상대로 소송을 내고, 사실혼 배우자의 상속권과 재산분할청구권을 인정하지 않는 법 조항이 위헌이라며 헌재에 헌법소원 심판도 청구했다.

이에 헌재는 10년 전인 2014년 사실혼 배우자의 상속권을 인정하지 않는 현행법이 합헌이라고 결정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사건에도 똑같이 합헌 결정을 내린바 있다.

A 씨는 "한쪽이 사망하면서 혼인 관계가 종료될 경우 사실혼 배우자에게 재산분할청구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입법하지 않은 것도 위헌이다"라고 주장했다.

결국 헌법재판소는 "입법자는 이혼과 같이 쌍방 생존 중 혼인이 해소된 경우의 재산분할 제도만을 재산분할청구권 조항의 입법사항으로 했다"며 "A씨의 청구가 헌법재판소법에 따라 허용되지 않는 것"판시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16,000 ▲17,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4,000
이더리움 3,98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430 ▼300
리플 3,675 ▼111
퀀텀 3,025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97,000 ▲121,000
이더리움 3,985,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280
메탈 1,063 ▼18
리스크 609 ▼14
리플 3,677 ▼108
에이다 952 ▼22
스팀 192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0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4,500
이더리움 3,983,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450 ▼310
리플 3,677 ▼110
퀀텀 3,037 0
이오타 253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