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해 청약시장에서 1순위 통장의 절반이 국민평형, 이른바 ‘국평’이라 불리는 전용 84㎡에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1순위 청약 접수건(19만515건) 가운데 전용 84㎡타입에 9만5012건, 49.9%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1순위 청약 접수 건수(108만5416건) 중 전용 84㎡의 청약 접수 비율인 43.2%(46만8809건) 대비 약 6%p 이상 상승한 것이다.
이처럼 전용 84㎡, 국평에 청약자가 몰린 이유는 올해 공급이 줄어든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전용 60~85㎡의 중소형타입의 공급이 계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양 물량 중 중소형 타입의 분양물량은 2021년 66.0%, 2022년 64.1%, 2023년 61.2%, 2024년 60.4%(3만5271가구, 예정)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올해 수치는 2010년(59.2%) 이후 14년 만의 최저치다.
또 최근 고금리를 비롯해 새 아파트의 경우 분양가가 계속 오르는 등 수요자들의 부담이 커진 상황에 국평은 대형 대비 가격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수요가 꾸준히 몰린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는 2021년 하반기까지 0.50~1.00%대 수준이었으나 2022년을 거치며 3.50%까지 2배 이상 오르며 주택관련 대출금리들이 큰 폭으로 올라 소비자들의 자금 부담이 크게 가중됐다.
여기에 주택건설시장은 계속된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분양가 상승 압박이 지속됐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1770만78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5%가 오르며 좀처럼 오름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이 밖에도 요즘 전용 84㎡ 새 아파트는 대형 못지않게 넉넉한 수납공간과 혁신적인 공간설계를 제공해 3~4인 가구가 살기에 충분한 환경을 갖추고 있는 점도 인기요인으로 꼽힌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주택시장은 불안정한 상황이라 수요자들은 안정적인 선택을 하려는 심리가 크다. 중소형, 국평 타입은 그나마 수요가 두터워 매매거래도 비교적 활발한 편이다”면서 “분양시장에서는 표준건축비가 인상되는 등 앞으로도 분양가는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비교적 공간감은 갖추면서 가격경쟁력이 높은 국평의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전국에 신규 공급되는 전용 84㎡ 국평 아파트들이 눈길을 끌 전망이다.
롯데건설은 경남 김해시 구산동 일대에서 ‘김해 구산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4월 분양할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 2층~최고 지상 29층 6개동 구성에, 전용 84㎡타입, 총 71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전용 84㎡ 단일면적의 총 5개 타입으로 설계 돼 취향에 따라 선택해 청약할 수 있다.
울산 남구에서 동원개발이 4월 분양할 예정인 ‘무거 비스타동원(가칭)’도 전용 84㎡, 481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마찬가지로 울산 남구에서 현대엔지니어링이 공급 중인 ‘힐스테이트 문수로 센트럴’도 전용 84㎡ 단일구성에 총 56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밖에도 현대건설이 경기도 화성시에 선보이는 ‘힐스테이트 동탄포레’도 전용 84㎡타입이 포함돼 있다. 현재 임차인을 모집 중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작년 ‘국민평형’, 1순위 청약통장 절반 몰려…이유는?
기사입력:2024-03-28 16:16: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180,000 | ▼899,000 |
비트코인캐시 | 528,500 | ▼2,000 |
이더리움 | 2,609,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80 |
리플 | 3,158 | ▼23 |
이오스 | 1,076 | ▲26 |
퀀텀 | 3,134 | ▼3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142,000 | ▼1,023,000 |
이더리움 | 2,609,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10 | ▼120 |
메탈 | 1,195 | ▼11 |
리스크 | 772 | ▼10 |
리플 | 3,155 | ▼27 |
에이다 | 1,011 | ▼10 |
스팀 | 21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150,000 | ▼930,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2,500 |
이더리움 | 2,609,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110 |
리플 | 3,156 | ▼26 |
퀀텀 | 3,146 | ▼24 |
이오타 | 30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