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약 9만가구 줄어들 전망이다.
부동산R114자료에 따르면 내년에는 총 24만4259가구의 새 아파트가 전국에 입주할 예정이다. 33만2609가구가 입주하는 올해보다 8만8350가구 줄어든 것으로, 지난 2013년 19만9633가구를 기록한 이후 약 12년만의 최저치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 대구, 광주, 경북 등 네 지역의 물량이 올해보다 절반 이상 줄어든다. 올해 3616가구가 입주 예정인 세종은 내년에는 약 28.4%에 불과한 1027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2011년 첫마을 아파트 입주 시작 이래 가장 적은 물량이다. 대구는 올해 2만3457가구에서 약 43.4%에 해당하는 1만192가구에 그칠 전망이며 광주도 올해 9386가구에서 4300가구로, 경북도 2만4041가구에서 1만1955가구로 절반 이상 감소한다. 특히 광주는 2012년(3740가구)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적은 물량이 입주한다.
반면 서울은 3만2201가구가 입주해 올해(1만1422가구) 대비 약 2만 가구가 증가할 전망이다. 이문아이파크자이(총 4321가구), 래미안라그란데(총 3069가구), 휘경자이디센시아(총 1806가구), 롯데캐슬이스트폴(총 1063가구) 등 지난해 분양한 대규모 단지들이 입주를 앞두고 있어서다. 입주 물량이 증가예정인 곳은 17개 시·도 지역 중 서울을 포함해 제주(+474가구), 전북(+891가구) 등 3곳뿐이다.
내년부터의 입주물량 감소는 2022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시장이 주춤한 결과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일반 분양물량은 총 13만4102가구로 2010년(8만7657가구) 이후 13년만의 최저 물량을 기록했다. 올해도 작년 수준의 분양 물량이 예정돼 있어 신축 가뭄 현상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공급자는 공사원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분양가를 높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반면, 소비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주택 구입에 부담을 느끼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들었다”며 “계속된 분양 감소로 내년뿐 아니라 내후년에도 입주물량이 증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어서 물량 감소가 큰 지역의 신축 단지 희소성이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입주물량 감소가 예정된 지역에서의 신규 분양 단지들이 눈길을 끈다.
광주에서는 제일건설㈜이 봉산공원 민간공원특례사업 아파트 ‘첨단 제일풍경채 파크원’을 2월 분양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동 일원에 지하 2층~지상 최고 24층, 10개 동, 전용 84㎡, 115㎡ 948가구 대단지로 조성된다. 약 18만여㎡에 달하는 봉산공원의 녹지를 가까이에서 누릴 수 있는 쾌적한 주거여건을 갖췄다.
경북에서는 2월 대한토지신탁이 울진 후포면에서 울진후포 ‘오션더캐슬'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9층, 2개동, 총 123가구 규모로, 전 가구가 선호도 높은 전용 84㎡로 구성된다. 울진군 최고층인 29층의 랜드마크 단지로, 내진설계, 해일을 대비한 지상 주차장(1~4층) 등 안전 최우선 특화설계가 도입된다.
현대건설은 충남 천안에서 ‘힐스테이트 두정역’을 2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서북구 두정동에 지하 2층~지상 29층, 11개동, 전용 84㎡~170㎡ 총 99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 앞에 희망초가 위치하고, 1호선 두정역이 도보거리에 있다.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CGV, 단국대학교병원, 천호지 등 생활편의시설도 인접해 정주여건이 우수하다.
이밖에도 경기 평택에서는 같은 달 대우건설이 ‘평택 푸르지오 센터파인’을 공급한다. 지하 2층~지상 29층, 8개동, 전용 74~122㎡ 총 851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초등학교 예정부지와 바로 맞닿아 있으며 중심상업지역, 공공청사 예정지 등과도 가까워 화양지구에서 가장 우수한 입지여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내년 아파트 입주물량 9만가구 감소…광주·대구·세종 ‘반도막’
기사입력:2024-02-07 17:38: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288,000 | ▲279,000 |
비트코인캐시 | 529,500 | ▲1,000 |
이더리움 | 2,613,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50 | ▲240 |
리플 | 3,168 | ▲24 |
이오스 | 1,073 | ▲13 |
퀀텀 | 3,162 | ▲2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324,000 | ▲431,000 |
이더리움 | 2,613,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40 | ▲230 |
메탈 | 1,196 | ▲8 |
리스크 | 773 | ▲4 |
리플 | 3,167 | ▲26 |
에이다 | 1,008 | ▲4 |
스팀 | 21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280,000 | ▲350,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2,500 |
이더리움 | 2,613,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90 | ▲260 |
리플 | 3,169 | ▲28 |
퀀텀 | 3,160 | ▲10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