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결] 잔존채무가 있는 상태에서 근저당권설정등기에 대한 말소등기 이행을 청구한 경우 해당 청구에 대한 판단 여부

기사입력:2024-01-17 16:23:25
대법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대법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대법원은 "근저당권설정등기에 대한 말소등기절차 이행의 청구에서 변제액이 채무 전액을 소멸시키지 못하고 잔존채무가 있는 경우에는 위 청구에 확정된 잔존채무를 변제하고 등기의 말소를 구한다는 취지도 포함된 것으로 해석해야한다"며 이때 피담보채무 중 잔존원금 및 지연손해금의 액수를 심리·확정한 후 그 변제를 조건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명해야 한다는 판결을 했다.

대법원은 지난해 11월 16일 , 이같이 선고했다.

사안의 개요는 먼저 구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8조 제2항의 취지다.

아울러 선이자가 공제된 경우 제한이자율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초과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채무자가 변제기에 갚아야 할 대부원금과 근저당권설정등기에 대한 말소등기절차 이행을 청구했으나, 변제액이 채무 전액을 소멸시키지 못하고 잔존채무가 있는 경우 위 청구에 확정된 잔존채무를 변제하고 등기의 말소를 구한다는 취지도 포함된 것으로 해석해야하는지 여부다.

법원의 판단은 구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8조 제2항의 취지는 대부업자가 사례금·할인금·수수료·공제금·연체이자·선이자 등의 명목으로 채무자로부터 금전을 징수해 탈법행위를 방지하는 데 있다.

따라서 대부업자와 채무자 사이의 금전대차와 관련된 것으로서 금전대차의 대가로 볼 수 있는 것이라면 이자로 간주되고, 대부업자가 이를 대부금에서 미리 공제하는 것은 선이자의 공제에 해당한다.

선이자가 공제된 경우에 구 대부업법에서 정한 제한이자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는 선이자 공제액을 제외하고 채무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을 기초로 해 대부일부터 변제기까지의 기간에 대한 제한이자율에 따른 이자를 기준으로, 선이자 공제액(채무자가 변제기까지 실제 지급한 이자가 있다면 이를 포함)이 그것을 초과하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판단의 결과 초과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초과 부분은 구 대부업법 제8조 제4항에 따라 당사자 사이에서 약정된 선이자 공제 전의 대부원금에 충당돼 충당 후 나머지가 채무자가 변제기에 갚아야 할 대부원금이 된다.

여기에 피담보채무 전액을 변제하였다고 주장하면서 근저당권설정등기에 대한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청구했으나, 변제액이 채무 전액을 소멸시키는 데 미치지 못하고 잔존채무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고의 청구에 확정된 잔존채무를 변제하고 그 다음에 위 등기의 말소를 구한다는 취지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또한, 피담보채무가 전액 변제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것은 아니고 피담보채무 중 잔존원금 및 지연손해금의 액수를 심리·확정한 후 그 변제를 조건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명해야 한다고 대법원은 판시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04.85 ▼2.48
코스닥 731.60 ▲6.20
코스피200 346.63 ▼0.4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804,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562,000 ▼500
이더리움 3,47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7,430 ▲80
리플 3,538 ▲33
이오스 1,219 ▲4
퀀텀 3,49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940,000 ▼59,000
이더리움 3,47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7,440 ▲80
메탈 1,255 ▲14
리스크 794 ▲3
리플 3,538 ▲31
에이다 1,118 ▲1
스팀 22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93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563,500 ▲500
이더리움 3,47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7,410 ▲100
리플 3,539 ▲30
퀀텀 3,447 ▲32
이오타 32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