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CJ제일제당, 3분기 매출 4조 6,734억 원∙영업이익 2,753억 원 外

기사입력:2023-11-13 17:54:07
[로이슈 편도욱 기자] CJ제일제당은 올해 3분기 매출이 4조 6,734억 원(-9.1%), 영업이익은 2,753억 원(-28.8%)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글로벌 경기둔화 속에서도 경영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 감소폭을 줄였다.

CJ제일제당은 공시를 통해 대한통운을 포함한 3분기 연결기준 실적도 발표했다. 매출 7조 4,434억 원(-7.1%), 영업이익 3,960억 원(-18.2%)을 기록했다.

식품사업부문은 3조 59억 원의 매출과 2,34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1분기(-21%)와 2분기(-14.9%) 영업이익이 전년비 감소했던 반면, 3분기에는 12% 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햇반과 비비고 등 핵심제품을 앞세워 외식 소비 둔화에 따라 늘어나는 내식 수요를 공략해 국내 가공식품 판매량이 늘었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판매∙관리비를 효율화한 것이 주효했다.

해외 식품 사업도 글로벌전략제품(Global Strategic Product: 만두/치킨/P-Rice/K-소스/김치/김/롤)을 앞세워 확장을 이어갔다. 핵심 권역인 북미에서는 만두가 그로서리 경로 점유율 50%를 넘어서며 1등 지위를 한층 공고히 했고, 지난 분기 처음으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슈완스의 대표 피자 브랜드 ‘레드바론(Red Baron)’도 2위 브랜드와 격차를 벌렸다.

신규 시장인 유럽과 오세아니아에서도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영국 메인스트림 채널인 오카도(Ocado)에 비비고 냉동밥, K-소스 등을, 아스다(ASDA)에 김스낵을 출시하는 한편, 호주에서는 현지 최대 대형마트인 울워스(Woolworths) 전 매장에서 비비고 만두를 판매하는 등 K-푸드 영토확장을 가속화했다.

사료첨가제를 주력으로 하는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8,987억 원, 영업이익 10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기저 부담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고수익 제품인 트립토판을 비롯해 발린, 알지닌 등 스페셜티 아미노산은 30%대의 높은 매출 성장을 유지했다. 조미소재∙Nutrition∙미래식품 소재 등이 주력인 FNT(Food&Nutrition Tech)사업부문은 1,595억 원의 매출과 369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전방 수요 부진이 지속됐으나, 신규 수요 발굴을 통해 프리미엄 조미소재 ‘테이스트엔리치(TasteNrich)’의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개선됐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6,092억 원의 매출과 59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사업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사료∙축산 수요 부진에 따른 판가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CJ제일제당은 미국 만두, 피자 등 1등 제품 지위 강화 및 유럽∙오세아니아 등 신규 지역 메인스트림 진입을 가속화하고, 국내에서도 차별화 제품을 앞세워 영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바이오사업부문은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품목 판매를 지속 확대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FNT사업부문은 ‘액티브엔리치(ActiveNrich)’ 항산화 솔루션 등을 앞세워 글로벌 뉴트리션 소재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K-스트리트푸드 등 전략 제품 판매 강화 및 글로벌 신영토 확장을 지속하는 한편, 수익성 개선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동제약, 어린이 피부면역 개선 ‘비오비타 아토 ATO’ 출시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어린이 유산균 브랜드 ‘비오비타’의 신제품, 피부 면역과 관련한 기능성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를 함유한 ‘비오비타 아토 ATO’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비오비타 아토 ATO’에는 유산균의 이로운 대사 산물이라 불리는 포스트바이오틱스가 4000% 농축된 형태(락티카제이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3201 열처리배양건조물)로 들어 있다.

일동제약은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1~12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해당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섭취한 그룹의 ‘피부민감도 지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피부 면역과 관련한 국내 최초의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정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3201 열처리배양건조물’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신규 건강식품 원료(NDI)로 등재될 만큼 안전성을 인정 받은 포스트바이오틱스라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포스트바이오틱스 외에도 ‘비오비타 아토 ATO’에는 유익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 등 건강한 장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락추로스 파우더’와 정상적인 면역 기능에 필요한 아연 등의 기능성 원료가 함께 포함돼 있다.

일동제약의 CHC-CM 그룹장 강대석 상무는 “제품 전성분을 ‘알레르기 프리’ 콘셉트에 맞춰 구성하고, 아이들에게 안심하고 먹일 수 있도록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 △HPMC △카제인나트륨 △결정셀룰로스 △합성 향료 및 착색료 등 7가지 첨가물을 쓰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강원평화경제연구소, 도 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거듭 비판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추진하는 전자칠판 보급 사업을 두고 강원평화경제연구소가 날 선 비판을 거듭하고 있다.

연구소는 13일 성명을 통해 "도 교육청이 납품 업체 선정 시 조달 우수물품 인증과 기술품질인증을 보유한 회사 제품만을 한정 구매하도록 사업 부서에 요구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3개 업체가 300억원을 나눠 먹기 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청은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 원칙대로 진행하겠다'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174,000 ▲412,000
비트코인캐시 527,000 ▲2,000
이더리움 2,600,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00 ▲220
리플 3,176 ▲17
이오스 983 ▲10
퀀텀 3,109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216,000 ▲425,000
이더리움 2,598,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230
메탈 1,210 ▲9
리스크 778 ▲5
리플 3,177 ▲22
에이다 988 ▲7
스팀 2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150,000 ▲440,000
비트코인캐시 527,500 ▲2,500
이더리움 2,600,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3,970 ▲80
리플 3,175 ▲14
퀀텀 3,065 0
이오타 29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