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부동산시장에서 ‘강남 불패’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2분기부터 계속된 집값 하락기에도 다른 지역에 비해 가격 방어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지난해 5월 정점을 찍은 이후 하락 반전해 올해 6월까지 13개월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으나, 강남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 아파트값은 상대적으로 덜 내려간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5월 4333만원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올해 6월 4031만원까지 약 7%(302만원) 하락했다. 같은 기간 강남3구 아파트는 평균 5.86%가 내려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연초 분양시장이 살아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완판하는 단지들이 연이어 나오자 강남권 주요 단지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의 경우 10월 23억6500만원에 거래되며 연초(17억9500만원, 1월)대비 5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84㎡도 지난 9월 35억8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는 1월(30억원)과 비교해 5억8000만원 상승한 가격이다.
강남3구에서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들도 나오고 있다.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 전용 164㎡는 지난달 49억7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는 직전거래인 지난 7월 43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사이에 6억7000만원 오른 것이다. 강남구 삼성동 ‘래미안삼성2차’ 전용 101㎡도 지난 7월 23억8000만원에 신고가를 경신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 살기 원하는 사람들 가운데서도 특히 생활인프라, 교육여건 등이 잘 갖춰진 강남3구 진입을 원하는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며 “지난해부터 올해 중순까지 이어진 조정기를 통해 일부 수요자들이 매수에 나서자 가격이 오르며 강남3구 일부 아파트에서 신고가까지 기록했는데 이는 수요자뿐 아니라 자산가들까지 몰리면서 가치상승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강남에서는 오랜만에 신규 분양이 잇따라 이목이 집중된다.
대우건설의 자회사인 대우에스티는 분양갤러리를 오픈하고 강남구 개포동에 공급되는 ‘대치 푸르지오 발라드’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12층, 총 78가구 규모로 강남권에서 희소성 높은 전용면적 59㎡가 포함된 주거상품인 것이 특징이다. 특히 내년 2월 입주를 앞둔 후분양 단지로, 수인분당선 구룡역 바로 앞에 위치한 초역세권 단지다.
현대엔지니어링과 DL이앤씨는 송파구 문정동에서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사이버 견본주택을 오픈하고 본격 분양에 돌입했다. 지하 2층~지상 18층, 14개동, 총 1265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49~74㎡ 29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이밖에도 연내에는 삼성물산이 강남구 도곡동에서 도곡삼호 재건축 아파트인 ‘래미안 레벤투스’를 공급할 계획이며, 삼성물산과 HDC현대산업개발은 송파구 신천동에서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을 통해 ‘잠실래미안아이파크’도 선보일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은마아파트 등 신고가 속출…‘강남 불패’ 신화 여전
기사입력:2023-11-06 12:31:0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48,000 | ▲18,000 |
비트코인캐시 | 531,000 | ▼1,500 |
이더리움 | 2,60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70 |
리플 | 3,181 | ▼4 |
이오스 | 978 | 0 |
퀀텀 | 3,11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44,000 | 0 |
이더리움 | 2,60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40 | ▼80 |
메탈 | 1,211 | ▼4 |
리스크 | 783 | ▼8 |
리플 | 3,183 | ▼5 |
에이다 | 994 | ▼5 |
스팀 | 21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2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0 |
이더리움 | 2,61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20 |
리플 | 3,182 | ▼6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