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박은실, 이하 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2023 문화예술교육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이 지난 9일 몽골 울란바토르 국립인형극장에서 첫 발을 뗐다고 12일 밝혔다.
교육진흥원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은 개발도상국 아동, 청소년 및 지역민의 문화예술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문화예술 분야의 협력 및 원조를 의미한다. 수원국의 국가개발전략과 현지 문화예술교육 수요에 맞춰 한국의 우수 콘텐츠와 매개자를 연결해 현지 국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과 시범운영 지원을 주요 골자로 한다.
교육진흥원은 2013년 베트남 사업을 첫 시작으로 2018년 인도네시아까지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을 확대했으며, 올해는 인도네시아와 신규 국가인 필리핀과 몽골에서 시행한다. 특히 몽골의 경우, 75주년을 맞이한 유서 깊은 몽골 국립인형극장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난 3년간 인형극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
지난 9일, 교육진흥원은 그간 프랑스·독일·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 등 해외뿐 아니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극단, 춘천인형극장, 아시테지(ASSITEJ) 축제 등에서 활동하는 국내 인형극 전문가 임정미, 노성신, 조혜연, 심상학 4인을 몽골 국립인형극장으로 파견했다.
몽골 인형극 예술가 15인은 ▲매개자 연수 ▲오픈클래스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 인형극의 흐름과 제작 인형 구동법 등을 직접 경험하고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16일부터는 청소년, 지역민 150명 대상 1인극 형식의 참여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하며, 20일에는 사업 관계자 및 예술가, 현지 정부 관계자가 모여 사업 평가와 방향성을 논의하는 결과공유회도 진행한다.
몽골 문화부 볼드 세르겔렝 예술정책국장은 “인형극은 사람과 세계의 마음을 움직이는 예술”이라며, “몽골 예술가들이 다채로운 한국의 문화와 인형극 시스템을 통해 통찰을 얻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문체부는 지난 2월 몽골 문화부와 국가적 문화 협력 확대를 위한 ‘2023-2026 한-몽 문화교류시행계획서’를 체결한 바 있다. 지난 9월, 몽골 바트바야르 뭉크후 차관은 한-몽 문화 교류 협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여 몽골인형극장과 협력해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 사업에 높은 기대감을 표시했다.
교육진흥원을 방문한 몽골 바트바야르 뭉크후 차관은 “한국은 법 제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체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며, “특히 아동, 청소년 문화예술 사업을 적극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교류가 더욱 기대된다”고 전했다.
교육진흥원 박은실 원장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무용, 서커스, 퍼레이드 등 다양한 장르가 융합되고 있는 가운데, 몽골만의 특색 있는 전통 인형극과 연결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함께할 수 있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한국과 몽골이 문화예술 영역에서 중장기적인 협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몽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추진
기사입력:2023-10-12 21:23: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852,000 | ▼349,000 |
비트코인캐시 | 687,500 | 0 |
이더리움 | 3,50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00 | ▲20 |
리플 | 3,127 | ▼8 |
퀀텀 | 2,70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842,000 | ▼258,000 |
이더리움 | 3,49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10 | ▲40 |
메탈 | 931 | ▲6 |
리스크 | 523 | ▲0 |
리플 | 3,125 | ▼8 |
에이다 | 793 | ▼2 |
스팀 | 17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810,000 | ▼36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1,000 |
이더리움 | 3,502,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30 | ▲60 |
리플 | 3,127 | ▼10 |
퀀텀 | 2,721 | 0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