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법판결] 국제거래에 있어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건

기사입력:2023-10-11 15:54:14
고등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고등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고등법원은 국제거래에 있어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건에 대해 법인의 내부행위를 벗어나 제3자에 대한 관계에서 사회상규에 반하는 위법한 행위라고 인정될 정도에 이르러야 하나 피고의 행위가 그에 이른다고 볼 수 없다고 항소기각 판결을 내렸다.
서울고등법원 제33민사부는 지난 7월 13일, 이같이 선고했다.

사안 개요는 원고는 미얀마 현지 법인과 미얀마 소재 공장을 임차하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원고는 위 법인의 실질적 대표자인 피고가 공장의 관리·보존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등으로 공장 운영을 방해하였다면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법률적 쟁점은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의 준거법과 법인의 실질적 대표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기 위한 요건이다.

법원의 판단은 구 국제사법(2022. 1. 4. 법률 제18670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음)에 의해 제32조 제1항은 ‘불법행위는 그 행위가 행하여진 곳의 법에 의한다.’고 정하는데 ‘불법행위가 행하여진 곳’에는 행위지뿐만 아니라 손해의 결과발생지로서 법익침해 당시 법익의 소재지도 포함됨. 원고가 주장하는 손해 중에는 국내에서 송금한 금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원고의 본점 소재지를 위 불법행위가 행하여진 곳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구 국제사법 제32조 제3항은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존재하는 법률관계가 불법행위에 의하여 침해되는 경우에는 그 법률관계의 준거법에 의한다.’고 정하는데, 원고는 피고의 불법행위로 임대차계약상 사용·수익권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하고 임대차계약에서 법률관계에 대한 준거법을 대한민국 법률로 정하고 있으므로, 이 사건에 대한민국의 법이 적용된다.
결국 법원은 법인이 당사자인 법률행위에 관하여 대표기관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려면 개인에게 민법 제750조에 따른 불법행위책임이 별도로 성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표기관의 행위로 인해 법인에 귀속되는 효과가 대외적으로 제3자에 대한 채무불이행의 결과를 야기한다는 점만으로는 부족하고, 법인의 내부행위를 벗어나 제3자에 대한 관계에서 사회상규에 반하는 위법한 행위라고 인정될 정도에 이르러야 하나, 피고의 행위가 그에 이른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항소기각(원고패)]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83.65 ▼8.41
코스닥 867.48 ▼1.45
코스피200 364.31 ▼0.8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3,823,000 ▲564,000
비트코인캐시 608,000 ▲2,000
비트코인골드 40,380 ▲50
이더리움 4,22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6,510 ▲170
리플 734 ▲1
이오스 1,163 ▼1
퀀텀 5,10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3,797,000 ▲357,000
이더리움 4,233,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6,460 ▲110
메탈 2,304 ▲11
리스크 2,599 ▲15
리플 734 ▼0
에이다 649 ▲5
스팀 41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83,752,000 ▲477,000
비트코인캐시 607,000 ▼500
비트코인골드 40,200 ▲190
이더리움 4,22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6,380 ▲50
리플 733 ▲0
퀀텀 5,095 ▲15
이오타 31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