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헌 의원, 인공조직 이식재 70% 이상이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 중

인공 뼈 , 근막 , 피부 등이 면밀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버려져 기사입력:2023-09-20 09:40:05
백종헌 국회의원.(제공=백종헌의원실)

백종헌 국회의원.(제공=백종헌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백종헌(부산 금정구) 의원이 한국공공조직은행 및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 으로부터 제출받은 ‘ 최근 3 년간 인체조직 기증 관련 현황 ’ 에 따르면 그동안 공공조직은행이 면밀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인공조직 이식재를 가공했고 이중 70% 이상이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됐다고 20일 밝혔다 .

최근 3 년간 인체조직 기증 관련 현황에 따르면 인체조직 기증자는 2020년 대비 2022년 57%, 기증희망자 ( 누계 ) 는 23.2% 건수는 44.6% 로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인체조직 기증 현황에 맞추어 인체조직 분배수익금도 2020년 대비 2022년 52% 증가했다.

이어 최근 3 년간 인공조직 이식재 가공 현황에 따르면 2020년 대비 2022년 총 이식재 가공도 33.8% 증가 했다 .

이 중 뼈가 이식재 가공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2020년 22.9%, 2021년 63.8%, 2022년 48%, 2023 년 (8 월 기준 ) 53.4% 등 절반 이상 비중 을 차지했다 .

뼈 다음으로는 혈관이 2020년 187개 , 2021년 207개 , 2022년 268개로 이식재 가공이 많았다.

(제공=백종헌의원실)

(제공=백종헌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하지만 동시기 인공조직 이식재 폐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유효기간 초과로 인한 폐기가 전체 사유 중 최대 95%를 차지하며 공공조직 은행이, 유효기간이 최대 5 년인 인공조직 이식재를 정확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가공해 폐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3 년간 유효기간 초과로 인한 인공조직 이식재 폐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뼈가 전체 이식재 폐기 중 50.6%를 차지했다 .

세부적으로 2020년에는 뼈가 전체 인공조직 이식재 중 70.5%, 2021년에는 72%, 2023년에는 56.8%를, 2022년에는 근막이 35.6%. 피부가 35%, 뼈가 20%, 건이 4.4%, 심장판막이 2.7%, 연골이 2.2% 비중을 각 차지했다.

백종헌 의원은 “공공조직은행이 국민으로부터 기증받은 소중한 인체조직을 정확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가공하여 폐기하고 있어 우려스럽다” 면서 “인체조직을 기증한 분들과 유족들의 숭고한 정신이 보다 많은 수혜자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현행 시스템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 이라고 강조 했다 .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221,000 ▼226,000
비트코인캐시 596,000 ▲1,500
이더리움 3,398,000 ▲162,000
이더리움클래식 27,330 ▲760
리플 3,367 ▲80
이오스 1,219 ▲20
퀀텀 3,460 ▲5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211,000 ▼444,000
이더리움 3,397,000 ▲150,000
이더리움클래식 27,330 ▲720
메탈 1,260 ▲24
리스크 760 ▲8
리플 3,369 ▲79
에이다 1,132 ▲29
스팀 21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130,000 ▼440,000
비트코인캐시 596,500 ▲2,000
이더리움 3,399,000 ▲164,000
이더리움클래식 27,300 ▲700
리플 3,364 ▲75
퀀텀 3,450 ▲49
이오타 341 ▲7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