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지던 부동산 침체 분위기가 연초 이후 반전되고 있다. 올해 초 정부가 부동산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지난 2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에서 동결한 이후 이번 달까지 계속 유지하며 이자상승 부담이 완화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동산 시장의 반전된 분위기는 미분양 물량 감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미분양주택현황보고에 따르면 올해 1월 정점을 찍고 미분양 물량이 점차 줄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7월 기준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6만3087건으로, 지난 1월 7만5359가구 대비 16.28%(1만2272가구)가 감소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부 지역은 오히려 미분양 물량이 늘어났다. 서울시는 1월 996가구에서 7월 1081가구로 85가구가 증가했으며 광주시도 같은 기간 262가구에서 698가구로 436가구가 늘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제주시도 동시기에 미분양 물량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분양의 온상이었던 대구시는 1월 1만3565가구에서 7월 1만1180가구로 2000가구 이상 줄었으며, 인천시도 동기간 3209가구에서 1212가구로 2000가구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인천시의 경우 미분양 소진율로만 보면 17개 시도 중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인천시의 미분양 소진율은 62.23%이며 대전시 51.8%, 울산시 31.6% 경기도 18.77%순으로 미분양 소진율이 높았다. 실제로 올해 분양한 미추홀구 ‘더샵 아르테’와 동구 ‘인천 두산위브더센트럴’, 계양구 ‘작전한라비발디’도 최근 모든 계약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준금리가 6차례 연속 인상되면서 급격히 이자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자금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를 비롯해 투자자들도 섣불리 부동산에 접근하지 못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동안 부동산시장의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며 “하지만 기준금리가 2월부터 동결되고 정부도 올해 초 규제를 완화하며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위기가 반전된 가운데 인천의 경우 서울 근교에 위치해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데다, 가격도 서울에 비해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만큼 실수요자들의 매수가 이어지며 미분양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2일 제일건설㈜이 인천 계양구 효성동에 공급하는 ‘제일풍경채 계양 위너스카이’의 1순위 청약이 진행된다. 총 1440가구(A블록 아파트 777가구, 오피스텔 97실, B블록 아파트 566가구) 대단지로 최고 35층 설계로 희소성과 탁 트인 조망을 갖췄다. 기부채납을 통해 계양구에 조성되는 대규모 공공기여·기반시설인 효성문화공원과 효성수영장이 단지 바로 옆에 들어서 도보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5500평 규모의 대형 스트리트몰도 조성 예정으로 지역명소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인천시, 미분양 소진율 ‘1위’…올해만 62.2% 소진
기사입력:2023-09-12 15:46: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56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44,500 | ▲11,500 |
이더리움 | 2,61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10 |
리플 | 3,157 | ▼22 |
이오스 | 1,058 | ▼3 |
퀀텀 | 3,140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690,000 | ▲303,000 |
이더리움 | 2,620,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90 |
메탈 | 1,194 | 0 |
리스크 | 772 | ▼2 |
리플 | 3,159 | ▼23 |
에이다 | 1,007 | ▼8 |
스팀 | 21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620,000 | ▲280,000 |
비트코인캐시 | 545,500 | ▲12,500 |
이더리움 | 2,617,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60 |
리플 | 3,155 | ▼25 |
퀀텀 | 3,138 | 0 |
이오타 | 310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