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는 현지시간 10일 오전 튀르키예 하타이주에서 튀르키예 대지진 피해 이재민 지원을 위한 ‘한국-튀르키예 우정마을’ 임시정착촌 입주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주튀르키예 한국대사관 이원익 대사, 부라 카라다 하타이 주청 부주지사, 무하메트 살리 귤테킨 내무부 군수, 무랏 세파 데미류레크, 이스켄데룬 군수 등 튀르키예 중앙정부 및 주정부 관계자, 코이카 도영아 부장, 사업수행 NGO, 입주 예정 이재민 가정 등 주요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 3월 튀르키예의 지진 조기 복구를 위해 민관합동으로 구성됐던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KDRT) 3진은 임시 재해복구 사업 기획 임무를 마치고 코이카-튀르키예 재난관리청(AFAD)과 협의의사록을 체결한 후 복귀한 바 있다.
동 협의의사록을 기반으로 코이카 및 한국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날,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등 3개 NGO 단체들은 총 1000만불 규모의 튀르키예 이재민을 위한 임시 정착촌 조성 및 이재민 지원 사업을 형성했다.
본 사업은 조기 재난 복구 사업을 민관합동으로 발굴한 최초의 사례로 우리정부와 민간단체들이 함께 사업 예산을 분담하고 우리나라 NGO가 현지 NGO 파트너와 함께 수행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유례없는 지진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에서 인명구조를 넘어, 구호와 조기 복구 과정까지 정부와 민간이 함께 피해국에서 협력했다는 점에서 또다른 의미를 가진다.
동 사업을 통해 조성된 ‘한국-튀르키예 우정마을’은 총 500가구의 지진 피해 이재민들이 도시가 복구될 때까지 정착할 약 4만㎡ 규모의 임시 컨테이너 하우스 거주촌이며, 단층 건물로 이루어진 아동 연령별 교육시설, 보건시설, 주민회관, 공용 세탁시설 등 공용공간 및 필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거주촌의 기반이 될 부지확보와 부지정리공사, 컨테이너 하우스 500동 설치 등이 1차적으로 마무리되어 8월 말부터 지진 피해 이주민의 입주가 진행될 예정이다.
튀르키예 정부의 기준에 따라 컨테이너 하우스 1동당 4~5인 가족이 거주해야 한다. 코이카와 3개 NGO는 컨테이너 1동마다 이층침대, 소파, 옷장 등 필수 가구와 냉장고, 에어컨, 라디에이터(히터기), 온수기, 그릇과 함께 튀르키예인들의 문화적 필수품인 미니 오븐과 튀르키예식 전기 찻주전자 등 장기 컨테이너 생활과 일상생활 재적응 및 심리적 안정에 필요한 물품들이 지원됐다.
아울러, 마을이 조성되어 이재민들의 이주가 진행되는 과정에 그들의 마을 정착을 돕고 식수위생, 보건/영양 등 이재민들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향후 ▲ 주민 자치위원회 조직 ▲ 청소년 및 성인들을 위한 회복력 프로그램, 생계 복귀 지원 ▲ 아이들을 위한 학교 교육 ▲ 심리사회적 지원 프로그램 지원 등이 계획되어 있다.
정유아 코이카 다자협력인도지원실 실장은 “코이카는 튀르키예 이재민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사업 수행파트너 NGO 및 튀르키예 재난관리청(AFAD) 등 유관 정부 부처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이재민들을 지원하겠다”면서 “총 500가구의 이재민 입주가 완료되고 마을 대상 프로그램들이 본격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면 마을 개촌식이 실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코이카, 튀르키예 지진 피해 이재민 임시정착촌 ‘한국-튀르키예 우정마을’ 입주식 개최
기사입력:2023-08-11 18:39: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77,000 | ▲237,000 |
비트코인캐시 | 528,500 | ▲1,000 |
이더리움 | 2,61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30 | ▲60 |
리플 | 3,171 | ▲5 |
이오스 | 971 | ▲5 |
퀀텀 | 3,127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59,000 | ▲164,000 |
이더리움 | 2,611,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50 | ▼10 |
메탈 | 1,208 | ▲5 |
리스크 | 788 | ▲2 |
리플 | 3,175 | ▲7 |
에이다 | 998 | ▲3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030,000 | ▲250,000 |
비트코인캐시 | 529,000 | ▲1,000 |
이더리움 | 2,61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60 | ▲80 |
리플 | 3,173 | ▲7 |
퀀텀 | 3,102 | 0 |
이오타 | 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