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오픈 3주년을 맞은 메가박스 돌비 시네마가 누적 관객 수 111만 명을 돌파하며 특별관 시장에서 눈에 띄는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메가박스(대표 홍정인)는 돌비 시네마 3주년을 맞이해 지난 3년간의 돌비 시네마 주요 기록을 집계했다. 극장을 찾는 관객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돌비 시네마의 데이터는 영화와 영화관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돌비 시네마는 관객에게 차원이 다른 영화 경험을 제공한다. 돌비 시네마는 몰입감 높은 음향을 전달하는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와 실감 나는 색감과 화질을 구현하는 ‘돌비 비전(Dolby Vision®)’을 통해 모든 영화에 감정적인 임팩트를 극대화한다.
돌비 시네마는 작품의 장르와 관계없이 관객들이 제작자의 의도가 온전히 구현된 영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돌비 비전’은 일반 영화관 스크린 대비 2배 이상의 밝기와 500배 높은 명암비, 수십억 단위의 컬러 팔레트로 생동감 넘치는 색감과 화질을 구현해 보다 사실적인 화면이 펼쳐진다. 또한 ‘돌비 애트모스’는 3차원 공간 내 정확히 사운드를 배치해 정교한 사운드 디자인을 완성함으로써 장면마다 공간감, 선명함, 깊이감을 더하며 관객을 감싸는 풍성한 사운드로 영화에 깊게 몰입하게 한다.
돌비 시네마는 전 세계 14개 국가에서 29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오직 메가박스에서만 돌비 시네마를 경험할 수 있다.
메가박스는 돌비 시네마 3주년을 맞아 지난 3년간의 주요 기록을 집계했다. 메가박스는 2020년 7월 코엑스점 오픈한 이후 매년 수도권(안성, 남양주), 충청권(대전), 영남권(대구) 지역에 돌비 시네마 신규 상영관을 개관하며 프리미엄 상영관 경험을 전국 단위로 확대하고 있다.
돌비 시네마를 경험한 관객은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약 3만 명, 2021년 약 16만 5천 명, 2022년 약 50만 9천 명이 돌비 시네마를 찾았으며, 올해는 이미 40만 명 이상이 돌비 시네마를 경험하며 총 누적 관객 수 111만 명을 돌파했다.
돌비 시네마는 관객 수 증가뿐만 아니라 좌석 점유율(이하 좌점율) 또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8%, 2021년 10.2%, 2022년 19.6%, 2023년 7월까지 25%의 좌점율을 보이며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점 증가에 따른 성장뿐만 아니라 돌비 시네마 선호도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어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성장세다.
돌비 시네마 개관 이후 3년간 상영한 작품은 총 210편으로 이 가운데 ‘돌비 애트모스’와 ‘돌비 비전’이 모두 적용된 영화는 총 94편이다. 돌비 시네마 상영작 중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은 평균 좌점율 57.7%를 기록한 <아바타: 물의 길>(이하 ‘아바타2’)이다. 스탠다드관 좌점율 37.5%에 비해 압도적인 수치이다.
‘아바타2’는 돌비 시네마의 진가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상영 당시 관객들로부터 크게 호평받았다. 실제로 3D 안경을 써도 유지되는 선명한 밝기, 왜곡 없는 색상의 구현 및 생동감 넘치는 음향을 구현했다. 이에 돌비 시네마가 ‘아바타2’를 더 몰입감 넘치게 볼 수 있는 프리미엄 상영관이라는 입소문과 함께 N차 관람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아바타2’의 돌비 시네마(3D) N차 관람률은 9%로 돌비 시네마의 장점을 온전히 느낄 수 있는 대표작으로 꼽혔다. ‘우수한 시스템’과 ‘우수한 작품’이 만나 이뤄낸 시너지 효과가 제대로 증명된 사례이기도 하다.
메가박스는 2020년 7월 코엑스점 돌비 시네마를 시작으로 매년 신규 돌비 시네마를 연이어 오픈하고 있다. 현재 돌비 시네마는 메가박스 코엑스점, 안성스타필드점,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점,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점, 대구신세계점 총 5개 지점에서 운영 중이다. 여기에 오는 8월 11일에 신규 오픈하는 메가박스 수원AK플라자점에 국내 6번째 돌비 시네마 상영관이 포함돼 기대감을 자아내고 있다. 수원AK플라자 돌비 시네마는 경기 남부권역 최초의 돌비 시네마 상영관으로 수도권 남부 지역 및 근처 신도시 관객들에게 뛰어난 접근성과 프리미엄 시네마 경험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프리미엄 상영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NHN,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엔에이치엔(대표 정우진, 이하 NHN)이 2023년 2분기 실적을 10일 발표했다.
NHN의 연결기준 2023년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전 분기 대비 0.6% 증가한 5,514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2.1%, 전 분기 대비 9.3% 증가한 209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게임 부문은 웹보드게임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1,07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계절적 비수기와 마케팅 효율화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웹보드게임 매출이 46.3% 증가하는 등 전체 웹보드게임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하며 게임 사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NHN페이코의 포인트 결제와 B2B 서비스의 지속 성장, NHN KCP의 국내 대형 가맹점 결제규모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9.1%, 전 분기 대비 3.4% 증가한 2,580억원을 달성했다. 페이코의 2분기 전체 거래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가운데, 포인트 결제와 기업복지솔루션 거래 규모가 마케팅 효율화에도 불구하고 각각 13%, 63% 증가하며 외형 확장과 수익성 개선에 이바지했다.
▲커머스 부문은 경기 둔화 및 불확실한 대외 여건의 지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5% 감소했으나, 전 분기 대비로는 2.5% 증가한 519억원을 기록했다.
▲기술 부문은 CSP 및 MSP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6%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1분기까지 집중된 공공 부문 매출의 역기저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6.5% 감소한 93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일본 NHN테코러스는 신규 대형 신규 고객사의 지속 유치로 전년 동기 대비 39.5%, 전 분기 대비 6.0% 성장했다.
◆벨루가(Veluga), 메이크샵에 AI 챗봇 솔루션 공급
AI 스타트업 벨루가(대표 이상연)는 이커머스 전문기업 커넥트웨이브의 전자상거래 통합 솔루션인 메이크샵에 챗GPT 기반의 AI 챗봇 서비스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메이크샵은 온라인 쇼핑몰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플랫폼으로 쇼핑몰 웹사이트제작부터 판매, 홍보까지 모든 것을 지원한다.
벨루가가 제공하는 AI 챗봇 제작 서비스는 AI기술을 사용해 손쉽게 기업 챗봇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이다. 메이크샵은 소규모 셀러부터 중견 기업이 고객 상담 운영 업무를 안전하고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벨루가의 AI 챗봇 제작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3주년 맞은 메가박스 ‘돌비 시네마’ 누적 관객 수 111만 돌파 外
기사입력:2023-08-10 18:54: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49 | ▼0.12 |
코스닥 | 720.63 | ▲3.39 |
코스피200 | 338.44 | ▼0.3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168,000 | ▲791,000 |
비트코인캐시 | 523,000 | ▲3,000 |
이더리움 | 2,669,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20 | ▲230 |
리플 | 3,207 | ▲19 |
이오스 | 1,013 | ▼5 |
퀀텀 | 3,196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180,000 | ▲680,000 |
이더리움 | 2,670,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00 | ▲220 |
메탈 | 1,219 | ▲7 |
리스크 | 790 | ▲3 |
리플 | 3,209 | ▲22 |
에이다 | 1,023 | ▲9 |
스팀 | 21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170,000 | ▲740,000 |
비트코인캐시 | 523,000 | ▲4,500 |
이더리움 | 2,67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60 | ▲290 |
리플 | 3,209 | ▲21 |
퀀텀 | 3,190 | ▲13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