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박천권 교수, "생활용품 내 톨루엔 관심 가져야"

기사입력:2023-06-13 18:23:07
성균관대 박천권 교수,

성균관대 박천권 교수,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영삼 기자] 불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간 불임과 난임 시술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불임 환자 수는 22만 7,922명에서 23만 6,801명으로 4.7% 증가했다. 이 중 여성 불임 환자는 15만 3,085명인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불임의 원인으로는 난소 기능 저하, 배란 장애, 난관 손상, 자궁경관 또는 면역학적 요인, 자궁인자 등이 있다. 최근에는 초혼, 초산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고,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등 환경호르몬도 불임의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것.

이와 관련 14년간 바이오 및 암 관련 연구를 다수 수행한 성균관대 교수이자 생리대 업체 오드리선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박천권 박사는 “환경호르몬 중 하나인 톨루엔의 경우, 여성들의 필수품인 생리대를 비롯해 매니큐어, 인조손톱, 미용 접착제 등 여성들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있어 노출을 최대한 피할 수 있도록 주의를 갖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일반적인 환경에서 발생되는 톨루엔의 농도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으나,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오드리선 생리대에서 방출될 수 있는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10종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고, 오드리선 제품에는 톨루엔을 비롯하여 모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불검출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박 교수는 장기간 민감한 부위에 사용해야 하는 생리대에는 환경호르몬의 불임 요소가 잔존하기 때문에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브랜드에서 이 같은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용 목적으로 많이 쓰는 인조손톱 접착제 및 속눈썹 접착제 등 미용 접착제에도 톨루엔이 사용되는데, 지난 2017년 인조손톱 접착제에서 톨루엔 등 기준치의 40배가 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되며 논란이 되기도 한 바 있다.

한편 업계 관계자는 “여성의 체내에 축적된 환경호르몬은 임신뿐만 아니라 추후 태아에게까지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상에서의 환경호르몬 노출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며 “특히 여성의 필수품인 생리대는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이기에 더욱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325,000 ▼133,000
비트코인캐시 513,000 ▼2,500
이더리움 2,629,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430 ▼160
리플 3,152 ▼12
이오스 1,023 ▼1
퀀텀 3,00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440,000 ▼147,000
이더리움 2,631,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480 ▼140
메탈 1,157 ▼4
리스크 732 ▼3
리플 3,153 ▼12
에이다 995 ▼6
스팀 20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28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513,500 ▼3,000
이더리움 2,631,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420 ▼190
리플 3,151 ▼15
퀀텀 3,001 ▼32
이오타 29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