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3년 1분기 1조 91억 원의 매출과 81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0.1%, 영업이익은 52.3% 감소했다.
1분기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과 이익이 하락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이런 가운데서도 헤라, 에스트라, 일리윤, 비레디 등의 브랜드는 혁신 제품 출시와 활발한 마케팅을 통해 매출이 성장하고 수익성이 개선되어 눈길을 끈다"라며 "국내에서는 면세 채널 하락으로 전체 매출은 축소되었으나 백화점과 멀티브랜드숍, 국내 화장품 e커머스 채널에서는 매출이 확대되었다"라고 전했다.
중국 매출이 감소한 해외 시장도 전체적으로는 매출이 하락했지만 지난해에 이어 북미와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시장에서는 고성장을 지속해 앞으로의 전망을 밝혔다. 주요 자회사들은 핵심 제품과 성장 채널에 집중하며 매출과 이익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 1분기 그룹 전체의 화장품 부문 매출은 9,255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면세 채널의 매출 감소로 전년 대비 24.6% 하락한 5,52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백화점과 멀티브랜드숍, 순수 국내 화장품 e커머스 채널에서는 매출이 증가해 눈길을 끈다. 면세 매출 하락 및 제품 포트폴리오 재정비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도 60.8% 감소했다.
브랜드 중에서는 ‘실키 스테이 파운데이션’의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 헤라가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판매 호조로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하며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제품 카테고리를 다변화한 에스트라는 1분기 올리브영 내 더마 카테고리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비레디의 경우 ‘에어리 헤어 스타일링’ 라인 출시 및 온라인 공식몰 오픈 등 활발한 마케팅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기능성 더마 브랜드의 전문성을 강화한 일리윤도 ‘세라마이드 아토’ 라인의 매출 성장세가 돋보였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중국 매출 하락에 따른 아시아 실적 둔화로 전년 대비 16.8% 하락한 3,49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아시아 매출 하락의 여파로 전체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36.9%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에 이어 북미에서 매출이 80% 성장하고 EMEA 지역에서도 매출이 94%나 성장해 돋보이는 성과를 거뒀다.
◆슈스코, 5월 가정의 달 할인 프로모션 진행
글로벌 패션기업 (주)에스엘인터내셔날의 브랜드 셀렉샵 슈스코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5월 가정의 달 할인 프로모션은 가정의 달 쿠폰 증정(신규회원 3만원 이상 현금쿠폰, 기존회원 등급별 최대 45% 쿠폰 지급), 봄 1+1 패키지팩 판매(스니커즈, 슬리퍼, 여성화 등), 리뷰 이벤트(1등-50,000원, 2등-30,000원 지급)를 실시한다.
이외에도 구매 금액 제한 없이 무료배송, 기성화·수제화 클리어런스 최대 80% 할인 등 다양한 가정의 달 이벤트를 슈스코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서울시, 지하철역 시위 전장연에 과태료 300만원 부과
서울시는 전국장애인차별폐연대(전장연) 측에 지하철역 시위 관련 과태료 300만원을 부과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전날 박경석 전장연 대표에게 철도안전법 위반에 따른 과태료 300만원을 부과했다.
앞서 경찰은 지난달 5일 서울시에 공문을 보내 박 대표와 박미주 전장연 사무국장이 철도안전법 제49조 1항을 위반했다며 과태료 부과를 의뢰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아모레퍼시픽 2023년 1분기 매출 1조 91억 원, 영업이익 816억 원 기록 外
기사입력:2023-05-02 20:01: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60,000 | ▲259,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3,500 |
이더리움 | 2,60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80 |
리플 | 3,187 | ▲13 |
이오스 | 972 | ▲5 |
퀀텀 | 3,121 | ▲3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07,000 | ▲282,000 |
이더리움 | 2,611,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20 |
메탈 | 1,208 | ▲6 |
리스크 | 792 | ▲6 |
리플 | 3,190 | ▲16 |
에이다 | 999 | ▲10 |
스팀 | 21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10,000 | ▲210,000 |
비트코인캐시 | 531,500 | ▲1,500 |
이더리움 | 2,61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130 |
리플 | 3,189 | ▲16 |
퀀텀 | 3,102 | ▲37 |
이오타 | 29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