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2022년 재무제표에 대한 삼일회계법인의 회계 감사 결과 ‘적정’ 의견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가상자산 사업자 중 글로벌 빅4 회계법인의 감사를 받고 있는 것은 현재 두나무가 유일하다.
두나무 관계자는 "회계 투명성 제고와 내부 통제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지난해 2월 2022년~2024년 회계연도 감사인으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임했다"라며 "삼일회계법인은 두나무의 재무제표 감사를 위해 동종업계 평균 대비 8배 이상 높은 약 8630시간을 투입했다"라고 전했다.
삼일회계법인은 디지털 자산 산업에 적용되는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감사 도구(툴)를 활용해 두나무의 ▲디지털 자산 지갑 및 개인 키 관리에 관한 통제 절차 ▲거래소 운영에 관한 회사의 통제 등에 대한 감사를 수행했다. 삼일회계법인은 지난 3월 30일 두나무의 재무제표에 대한 ‘적정’ 의견 감사보고서를 발행했다.
두나무 관계자는 “두나무는 내부회계관리제도 고도화를 위해 외부 회계법인으로부터 컨설팅을 받는 등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자사 회계 및 내부 통제 체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는 연간 회계 감사와 별개로 업비트에 예치된 이용자의 디지털 자산 및 예치금에 대한 분기별 외부 실사도 받고 있다.
◆‘몸값’,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장편 경쟁부문 각본상 수상 쾌거
클라이맥스 스튜디오의 ‘몸값’이 한국 드라마 최초 칸 국제 시리즈 경쟁 부문에서 수상하며 K 콘텐츠의 우수성을 증명했다.
SLL(대표 정경문)의 레이블 클라이맥스 스튜디오(대표 변승민)가 제작한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몸값’이 제6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장편 경쟁부문 진출에 이어 각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특히 ‘몸값’은 이번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경쟁부문에 진출작 중 유일한 K 콘텐츠로, ‘굿 모닝 척’, ‘카르타고’, ‘차일드후드 드림스’등 해외 유수의 작품들과의 경쟁에서 이룬 성과라 더욱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OTT, TV, 스크린 등 플랫폼의 경계를 뛰어넘어 'D.P.', '지옥', '정이' 등의 웰메이드 콘텐츠를 제작해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클라이맥스 스튜디오가 작년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괴이’로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 공식 초청된데 이어 2년 연속 초청을 받은 가운데 이번 경쟁부문 각본상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동시에 '몸값'은 한국 드라마 최초로 칸 국제 시리즈에서 수상한 작품이라는 기록을 쓰게 됐다.
◆과기정통부, 펠르랭 칸 시리즈 조직위원장과 OTT 협력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6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칸 시리즈) 조직위원장 플뢰르 펠르랭 전 프랑스 문화부 장관과 한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수출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20일 밝혔다.
펠르랭 위원장은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에서 K-콘텐츠가 나날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하고 한국과 프랑스의 콘텐츠 교류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과기정통부와 펠르랭 위원장은 올해 4분기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국제 OTT 어워즈'(가칭)와 관련해 칸 시리즈와 연계한 신규 프로그램 진행 등을 논의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두나무, 삼일PwC로부터 감사 ‘적정’ 의견 外
기사입력:2023-04-20 13:36:2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03,000 | ▼667,000 |
비트코인캐시 | 526,000 | ▼4,000 |
이더리움 | 2,600,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140 |
리플 | 3,151 | ▼21 |
이오스 | 1,059 | ▼16 |
퀀텀 | 3,156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29,000 | ▼641,000 |
이더리움 | 2,604,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160 |
메탈 | 1,193 | ▼5 |
리스크 | 771 | ▼3 |
리플 | 3,150 | ▼22 |
에이다 | 1,006 | ▼3 |
스팀 | 21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20,000 | ▼640,000 |
비트코인캐시 | 526,500 | ▼4,000 |
이더리움 | 2,604,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80 | ▼210 |
리플 | 3,149 | ▼25 |
퀀텀 | 3,157 | ▼3 |
이오타 | 30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