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프레시지는 지난해 자사 판매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 밀키트 수요와 달라진 소피 패턴에 대해 분석하는 ‘2022 밀키트 시장 트렌드’를 18일 공개했다.
프레시지에 따르면 2022년 자사 판매량 상위 10개 제품 중 6개 제품이 찌개와 전골, 탕과 같은 집에서 자주 해먹는 일상 한식 밀키트였다. 한국인은 밥심이라는 말처럼, 밥과 함께 먹을 수 있는 한식에 대한 수요가 밀키트에서도 드러났다.
프레시지 관계자는 "특히 ‘햄가득 부대전골’, ‘우삼겹 순두부찌개’, ‘서울식 불고기 전골’, ‘고깃집 된장찌개’와 같이 사 먹는 음식이 아닌 주로 해먹는 음식으로 인식되는 일상식 메뉴가 상위권을 차지한 것이 눈에 띈다"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까지 홈파티에 어울리는 외식 메뉴들이 판매 상위권에 올랐던 것과 달리, 팬데믹으로 내식이 활발해지며 밀키트의 용도가 일상식까지 넓어진 것으로 풀이된다"라고 전했다.
2030세대의 요리 입문용 아이템으로 주목받았던 밀키트가 이제는 3040 세대가 가장 많이 구매하는 간편식으로 자리잡았다. 프레시지 2022년 자사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밀키트 구매 연령대별 비율은 35-44세(29.2%), 25-34세(27.9%), 45-54세(20.2%)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35-44세 비율이 21.5%였던 21년도와 비교해 약 8% 높아진 수치다.
엄마의 손맛으로 표현되던 집밥 메뉴들까지도 제품화되면서 3040세대들도 간편하면서도 누가 만들어도 맛있는 요리를 완성할 수 있는 밀키트를 선호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해부터 계속된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별도의 식재료 구매가 필요 없는데다 대부분 2인 구성으로 포장된 밀키트 수요가 1인 가구를 넘어 가족 단위 소비자들까지 확장된 것으로 분석된다.
내식 시장에 밀키트가 밀접하게 자리잡은 것과 별개로 외식 업계에서도 점차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일반 자영업자와 외식업체도 가공된 식자재 수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요식업체의 전처리 가공 식재료 비율이 2019년 25.6%에서 2021년 42.3%로 늘었다.
◆그랜드 하얏트 인천 레츠 클레이! (Let’s Clay!) 패키지 출시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그랜드 하얏트 인천은 다가오는 어린이날을 맞아 아이 동반 가족 고객 대상으로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레츠 클레이! (Let’s Clay!) 패키지를 5월 4일부터 5월 7일까지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어린이날 패키지는 창의를 위한 자연감성 클레이 ‘몽클’과 협업하여 촉감 놀이터 이용(어린이 1인)과 조식으로 구성되었다.
촉감 놀이터는 아이들 본인의 속도로 상상력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놀이 키트는 하이포알러제닉 테스트와 피부 일차자극 테스트를 무(비)자극으로 통과한 국내 유일의 클레이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세피해 전국대책위 오늘 출범
최근 전세사기 피해자 3명이 잇따라 숨진 가운데 전국 단위 대책위원회가 18일 출범한다.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 피해대책위는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로 확대 출범하고, 이날 오후 주안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안상미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전세 사기가 더 이상 일반 사인(私人) 간 피해라고 보기 어려운 사회적 재난이 됐다"며 "전국의 피해자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자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프레시지, "밀키트 젊은층 전유물 탈피… 3040 연령층 최다 구매" 外
기사입력:2023-04-18 16:27: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58,000 | ▲265,000 |
비트코인캐시 | 526,000 | ▲1,500 |
이더리움 | 2,597,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50 | ▲120 |
리플 | 3,211 | ▲12 |
이오스 | 985 | 0 |
퀀텀 | 3,119 | ▲2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51,000 | ▲280,000 |
이더리움 | 2,59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30 | ▲140 |
메탈 | 1,218 | ▲10 |
리스크 | 779 | ▲13 |
리플 | 3,210 | ▲11 |
에이다 | 1,004 | ▲2 |
스팀 | 218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7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525,000 | ▲1,500 |
이더리움 | 2,59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30 | ▲110 |
리플 | 3,212 | ▲12 |
퀀텀 | 3,100 | 0 |
이오타 | 30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