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 메타브, 오픈 9개월 만에 콘텐츠 조회수 1,000만 돌파
인터랙티브 콘텐츠 전문 기업 ‘소프트스피어(대표 임하은)’의 인터랙티브 웹 플랫폼 ‘메타브’가 오픈 9개월 만에 누적 콘텐츠 조회수 1,000만 회를 달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 12월에는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소프트스피어 관계자는 "메타브는 유형테스트, 온라인 방탈출, 온라인 전시, 미니게임 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플레이할 수 있으며 친구에게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웹 플랫폼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2022년 4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케비티아이’, ‘이미지 온도차 테스트’를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들이 각종 SNS 실시간 트렌드에 오르며 Z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플랫폼 내 크리에이터 수도 4,000명을 기록했다"라고 전했다.
메타브는 누구나 쉽게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템플릿+’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제작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셉에 맞게 ▲성향 유형형 ▲퀴즈등급형 ▲온라인 방탈출 등의 템플릿을 활용하여 단 시간내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고, 완성된 콘텐츠는 자체 검토를 거쳐 등록된다. 특히 별도의 설치나 다운로드를 하지 않고도 제약 없이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확산에 큰 강점을 가진다.
임하은 소프트스피어 대표는 “글-이미지-영상을 넘어 유저들에게 더 고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느끼게 해준 2022년이었다”며 “2023년에는 메타브만이 가진 강점인 ‘템플릿’을 중점으로 브랜드 제휴를 진행할 예정이며, 크리에이터들의 수익화와 함께 메타브의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삼겠다”고 전했다.
◆와일드 파이터 키우기’ 1분기 내 글로벌 출시 예정
1세대 모바일 배틀로얄 게임으로 유명한 ‘블랙서바이벌’이 3D 방치형 롤플레잉 게임으로 돌아온다.
넵튠의 자회사 님블뉴런은 자사의 ‘블랙서바이벌’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3D 방치형 RPG ‘와일드 파이터 키우기(Wild Fighter Idle)’를 1분기 내 글로벌 출시 예정으로 현재 양대 마켓을 통해 사전 예약 중이라고 밝혔다.
‘와일드 파이터 키우기’는 비밀 단체가 실행한 생존실험에서 탈출한 주인공 캐릭터 ‘현우’가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게임의 무대는 원작 블랙서바이벌의 배경이 되는 ‘루미아섬’ 탈출 5년 후의 세계로, 서울/부산 등 한국의 실제 지형에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녹인 그래픽 콘셉트로 제작됐다.
◆나노팀, 공모가 1만3000원 확정…경쟁률 1,723대 1
전기차 배터리 열관리 소재 전문 기업 나노팀(대표이사 최윤성)이 지난 14일, 15일 양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를 희망 밴드(1만1500원~1만3000원) 상단인 1만3000원에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에서 총 1,830곳에 달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해 1,723대 1의 올해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회사의 공모 희망 밴드는 1만1500원~1만3000원으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상단 수준인 1만3000원으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총 공모금액은 267억 원이다. 상장예정주식수 중 78.2%가 보호예수 대상이고 전체 참여건수 중 의무보유확약 비중은 24.75% 수준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메타브, 오픈 9개월 만에 콘텐츠 조회수 1,000만 돌파 外
기사입력:2023-02-17 18:35:1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7.98 | ▲1.37 |
코스닥 | 722.22 | ▲4.98 |
코스피200 | 338.57 | ▼0.1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30,000 | ▼198,000 |
비트코인캐시 | 534,500 | ▲13,000 |
이더리움 | 2,66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80 | ▲220 |
리플 | 3,212 | ▲5 |
이오스 | 1,020 | ▲13 |
퀀텀 | 3,19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64,000 | ▼281,000 |
이더리움 | 2,671,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40 | ▲160 |
메탈 | 1,222 | ▲7 |
리스크 | 793 | ▲1 |
리플 | 3,211 | ▲3 |
에이다 | 1,031 | ▲9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5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1,500 |
이더리움 | 2,66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00 | ▲200 |
리플 | 3,212 | ▲4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