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컴투스, ‘서머너즈 워’ 한·일 슈퍼매치 4월 개최 外

기사입력:2023-02-15 13:21:35
[로이슈 편도욱 기자] ◆컴투스, ‘서머너즈 워’ 한·일 슈퍼매치 4월 개최…e 스포츠 라이벌 대격돌

컴투스가 오는 4월 한국과 일본의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서머너즈 워)’ 라이벌전인 ‘KOREA vs JAPAN SUPER MATCH 2023’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컴투스 관계자는 "이번 라이벌전에서는 양국 최강의 선수들이 드림팀으로 뭉쳐 한판 승부를 펼친다"라며 "‘서머너즈 워’ 공식 팀전으로서 경기 방식에서도 다변화를 꾀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팀 매치를 비롯해 승자 연승전, 에이스 결정전 등, 공식 대회에서는 처음 선보이는 신선한 구성을 통해 SWC와는 또 다른 관전의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컴투스는 2017년부터 매년 규모와 성과를 확대하며 글로벌 e 스포츠 대회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이하 SWC)를 개최하고 있다. 앞으로도 매년 SWC 시즌 전 한·일 슈퍼매치를 통해 양국 유저들이 함께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꾸준히 ‘서머너즈 워’ 강자들을 배출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 최초의 공식 국가대항전인 만큼 역대급 스페셜 매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SWC에서도 한·일 매치는 양국 선수들의 자존심 대결로 승부가 성사될 때마다 가장 뜨거운 응원전이 펼쳐지고 있어, 과연 초대 우승팀은 누가 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참가자 모집은 오는 3월 6일부터 27일까지 공식 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시즌 24 성적을 기준으로 양국에서 각각 상위 16인을 선발, 4월 온라인 예선전을 실시한다. 국가 별로 8명씩 두 개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 별 8강 더블 일리미네이션 방식을 통해 각각 4명의 선수를 선발한다. 참가자 중 SWC2022 최종 성적이 가장 우수한 선수는 국가 대표 자격으로 본선 직행이 가능하다.

본격적으로 양국이 맞붙는 본선은 5월 일본 현지에서 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 본선에 앞서 각 팀 별 오리엔테이션, 전략 회의 모습 등 숙명의 라이벌전을 준비하는 선수들의 대결 비하인드도 영상 콘텐츠로 공개해 풍성한 볼거리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의 최종 우승 팀과 각 팀의 MVP 선수들에게는 각각 10,000달러(한화 약 1,200만 원)와 1,000달러(한화 약 120만 원) 등 총 12,000달러(한화 약 1,500만 원) 상금이 수여된다.

컴투스는 이번 사전 안내와 함께 티저 영상도 공개했다. 영상에서는 지난해 개최된 ‘SWC2022’의 열띤 현장과 함께 양국 국기가 등장하며 대형 이벤트를 예고한다.

◆스켈터랩스, 연애 테크기업 럽디와 전략적 MOU 체결

스켈터랩스(대표 조원규)는 연애 테크기업 럽디와 데이터 역량 강화 및 대화형 AI 기술력 고도화를 위해 전략적 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각사가 보유한 강점을 극대화하고 산업 내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켈터랩스는 럽디가 오랜 기간 쌓아 온 전문 상담가의 상담 데이터를 확보하게 됐으며, 이를 대화형 AI에 학습시켜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가 가능한 챗봇 등의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KAIST, 난치성 뇌전증 80%까지 유전자 진단 성공

KAIST(총장 이광형)는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이 소아 난치성 뇌전증인 국소피질이형성증 환자 뇌 조직 연구를 통해 극미량의 뇌세포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질병 발생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치료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내용은 세계적 신경의학 학술지 `신경학 연보(Annals of Neurology)'에 지난 1월 26일 字 게재됐다.

뇌전증은 반복적인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질환이다. 뇌전증 유병률은약 0.5~1%로, 전세계적으로 5000만명이 넘는 환자가 있고, 국내에서는 30~40만명 정도로 치매, 뇌졸중 다음으로 많은 신경질환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71,000 ▼40,000
비트코인캐시 835,500 ▲8,000
이더리움 6,601,000 ▲74,000
이더리움클래식 30,700 ▲230
리플 4,319 ▲12
퀀텀 3,630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88,000 ▲91,000
이더리움 6,601,000 ▲84,000
이더리움클래식 30,680 ▲250
메탈 1,016 ▲1
리스크 533 ▲2
리플 4,320 ▲17
에이다 1,289 ▲3
스팀 18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834,000 ▲7,000
이더리움 6,600,000 ▲75,000
이더리움클래식 30,710 ▲230
리플 4,319 ▲17
퀀텀 3,621 ▲8
이오타 279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