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CGV, 영화 전문 도서관 ‘씨네 라이브러리’ 재오픈 外

기사입력:2023-02-14 18:24:05
[로이슈 편도욱 기자] ◆CGV, 영화 전문 도서관 ‘씨네 라이브러리’ 재오픈

CGV는 한동안 운영을 중단했던 국내 최초 영화 전문 도서관 ‘씨네 라이브러리’를 일반 고객이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재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2월 6일부터 CGV 모든 고객들은 오후 12시부터 오후 9시까지 ‘씨네 라이브러리’의 공간과 도서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CGV 관계자는 "CGV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 10층에 위치한 ‘씨네 라이브러리’는 영화와 문화를 사랑하는 고객들이 즐겨 찾는 공간이다"라며 "영화 관련 전문 서적 1만여권을 갖춘 국내 유일 영화 전문 도서관으로 2015년 5월에 처음 선보였다"라고 전했다.

영화 원작, 영화 전문서, 국내외 시나리오를 비롯해 영화에 창의적인 영감을 안겼던 미술, 사진, 건축, 디자인, 세계 문학 고전 등 인문, 예술 분야 등을 총망라한 엄선된 장서들을 만나볼 수 있다.

‘씨네 라이브러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출입을 제한했던 것을 실내 마스크 해제 등 방역 지침 완화에 맞춰 지난 2월 6일부터 일반 고객에게 재오픈해 운영 중이다. 코로나19 이후 이번 재오픈 전까지는 GV 등의 공식 행사에 한해서만 입장이 가능했다.

이번 재오픈 소식에 지난 주말에는 ‘씨네 라이브러리’를 즐기려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현장을 찾은 고객들은 “극장을 찾는 이유 중 하나였던 ‘씨네 라이브러리’에서 다시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돼 기쁘다. 너무 그리웠다”, “영화 보기 전후로 다양한 도서를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앞으로도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것 같다”, “코로나19로 방문할 수 없었던 공간을 다시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소식에 설레었다”고 전하며 이번 재오픈을 반기는 모습을 보였다.

CGV는 이번 재오픈에 맞춰 고객이 ‘씨네 라이브러리’에서 매점 음식도 즐길 수 있게 했다. ‘씨네 라이브러리’ 내에서 편리하게 매점 주문도 가능하다. ‘씨네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부착돼 있는 메뉴판을 확인한 후 네이버 스마트주문으로 원하는 제품을 주문하면 제품을 자리에서 바로 받아 즐길 수 있다. 현장을 찾은 고객들은 SNS 인증 이벤트도 참여 가능하다. 필수 해시태그와 함께 방문 후기를 업로드한 후 11층 매점에서 확인하면 ‘씨네 라이브러리’ 연필 세트를 준비된 수량 소진 시까지 선착순으로 누구나 받을 수 있다. 또한, 친구나 지인 계정을 함께 태그하면 추첨을 통해 뱃지 12개 세트도 증정할 예정이다. 태그 이벤트는 오는 3월 31일(금)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씨네 라이브러리’ 이용 및 이벤트 관련 자세한 내용은 CGV 모바일 앱과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바디프랜드, 2023년에도 ESG 경영 강화에 박차

바디프랜드(대표이사 지성규·김흥석)가 2023년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윤리적 활동에 앞장선다.

바디프랜드는 최근 E-순환거버넌스(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으로부터 전자제품 자원 순환에 의한 ‘순환자원 생산 활동 확인서’ 및 ‘탄소 저감 활동 확인서’를 전달받았다. 한 해 동안 5,681톤의 폐전자제품인 안마의자를 회수 및 재활용체계를 운영하여 5,342톤의 순환자원을 생산했고, 15,425톤Co2eq(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양)의 탄소 저감 효과를 거둔 것에 대한 인증이다.

이렇게 많은 양의 자원 순환과 탄소 저감이 가능했던 것은 전시장 가구 리사이클을 통해 폐기물을 절감하는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사내 카페에서 모든 일회용품 사용을 중단하는 ‘플라스틱 제로 캠페인’ 등 꾸준한 친환경적인 활동들 덕분이다.

◆에스에프에이 2022년 수주액, 전년 대비 39%증가한 1조1207억 원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 에스에프에이(056190, 대표 김영민)는 14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개최하고 2022년도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에스에프에이의 2022년 별도 기준 매출액은 8,509억, 영업이익은 961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9%, 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신사업 확대 및 신규 고객사 발굴 등 영업활동 관련 제반 비용 증가로 소폭 둔화됐다.

연결 기준 매출은 1조 6,844억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609억을 기록해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감소 이유는 계열사 간 거래에서 기말 기준 수익 인식 시점 차이 조정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62,000 ▼398,000
비트코인캐시 525,000 ▼4,500
이더리움 2,573,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780 ▼150
리플 3,159 ▲2
이오스 973 ▼9
퀀텀 3,09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91,000 ▼419,000
이더리움 2,57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790 ▼170
메탈 1,202 ▼1
리스크 773 ▼1
리플 3,155 ▼4
에이다 981 ▼8
스팀 21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1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525,000 ▼4,000
이더리움 2,57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890 ▲90
리플 3,161 ▲2
퀀텀 3,065 0
이오타 298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