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이슈] JW중외제약 당뇨 치료제 '가드렛', 당화혈색소 개선 유효성 입증

기사입력:2023-01-11 20:55:53
[로이슈 전여송 기자] 기존 당뇨병 치료제(DPP-4 억제제)로 혈당 조절이 불충분한 환자에게 ‘가드렛(성분명 아나글립틴)’이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제시됐다. JW중외제약은 당뇨병 치료제 가드렛의 당화혈색소(HbA1c) 개선 우수성을 입증한 관찰연구 결과가 최근 국제학술지 ‘당뇨병 치료(Diabetes Therap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11일 밝혔다.

JW중외제약에 따르면 DPP-4 억제제인 가드렛은 아나글립틴이 주성분인 2형 당뇨병 치료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하는 1형 당뇨병과 달리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지만, 양이 적거나 저항성 때문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성래 교수·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상용 교수 연구팀은 가드렛을 제외한 DPP-4 억제제를 8주 이상 단독 또는 병용 복용 중인 2형 당뇨병 환자 중 당화혈색소 수치가 7.0% 이상인 1119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연구를 진행했다.

가드렛 100㎎으로 전환 복용 12주차와 24주차에 당화혈색소를 측정한 결과 12주차에는 당화혈색소 수치가 복용 전보다 0.4% 낮아졌고 24주차에는 0.42%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지질혈증과 고혈압, 협심증 등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군의 당화혈색소 수치도 유의하게 개선됐다.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군의 당화혈색소 수치는 12주차와 24주차에 각각 0.68%, 0.89% 낮아졌으며 동반질환 환자군은 각각 0.27%, 0.22% 떨어졌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7% 미만으로 낮아진 비율은 비동반질환군에서 12주와 24주 시점 모두 70%를 기록했다. 동반질환 환자군에서는 각각 20%, 24%로 나타났다.

김성래·김상용 교수 연구팀은 “특히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다른 경구 혈당강하제를 추가하기 전에 가드렛으로 교체 투여하는 것이 새로운 치료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로 가드렛의 혈당 조절 우수성뿐만 아니라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군에서의 개선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87,000 ▲433,000
비트코인캐시 718,500 ▲3,000
이더리움 4,00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890 ▲20
리플 3,785 ▲6
퀀텀 3,029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12,000 ▲398,000
이더리움 4,006,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890 ▲50
메탈 1,040 ▲6
리스크 580 ▲2
리플 3,786 ▲6
에이다 987 ▼2
스팀 194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20,000 ▲380,000
비트코인캐시 718,000 ▲3,000
이더리움 4,004,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880 ▼40
리플 3,785 ▲4
퀀텀 3,018 0
이오타 261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