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신일 ‘하이브리드 스탠딩 드라이어’ 출시
신일전자(이하, 신일)가 ‘하이브리드 스탠딩 드라이어’를 출시하고, 롯데하이마트 온·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단독 판매한다.
신일전자 관계자는 "신일의 ‘하이브리드 스탠딩 드라이어’는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스탠드 형식의 헤어 드라이어로, 사용 중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라며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옷매무새를 다듬을 수 있고, 어린아이나 반려동물의 모발도 쉽게 말릴 수 있다"라고 전했다.
또 "‘펫 케어 모드’를 적용한 점도 눈에 띈다. 사람보다 4배 뛰어난 청력을 가진 반려견과 높은 주파수의 소음을 감지하는 반려묘를 위해,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덜어줄 수 있는 최적의 주파수 구간을 찾아 평균 41.8dB(데시벨)의 저소음을 구현했다"라고 밝혔다.
신일의 바람 기술력을 담은 BLDC 모터를 탑재했으며, 조용하지만 강력한 바람이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풍속은 3단계로 머리숱에 적합한 바람을 설정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온풍은 3단계로 조절 가능하며, 냉풍 모드도 빠르게 전환돼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볼륨감 있는 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가 자유로운 2in1(투인원) 형태로 스탠드형과 핸디형으로 사용 가능하며, 거치대 높낮이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
KT&G 주주대상 설명회 가져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Flashlight Capital Partners 이하 FCP, 대표 이상현)가 8일과 9일, 이틀 간 지난 10월 공개한 KT&G 5대 주주제안 진행 상황 업데이트를 주제로 온라인 설명회를 가졌다.
총 세번에 걸쳐 웨비나(Webinar) 형식으로 진행된 설명회에서는 ▲KT&G 3분기 실적에 대한 의견 ▲5대 주주제안 세부 설명 ▲향후 계획 및 예상 대응방안 등이 공유됐다. 특히 FCP는 해당 설명회에 참석한 국내, 아시아, 미주지역의 투자자와의 Q&A를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가장 먼저 이상현 대표는 FCP가 KT&G에 주목한 배경에 대해 설명하며 KT&G의 현재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KT&G 주가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면서 “분자(배당금)는 그대로인데, 분모(주가)가 작아지면서 배당 수익률만 오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패스트벤처스, 배치 기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START’ 3기 모집
패스트벤처스가 ‘FV START 프로그램’(이하 ‘START’) 3기 참가팀을 모집한다. START는 패스트벤처스가 만든 배치(batch) 기반의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이다. 참신하고 기발한 창업 아이템을 가지고 있거나, 아이템은 없지만 팀이 구성이 된 경우 등 창업가나 스타트업 팀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모집 기간은 이달 31일까지다.
START는 불필요한 데모데이가 없는 대신, START 팀의 성장을 돕기 위한 모든 미팅 및 활동은 패스트벤처스 박지웅 대표가 직접 진행 및 1:1 밀착 관리에 나선다. 사업성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 및 창업자를 발굴하고, 창업팀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적극 지원해 동반성장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신일 ‘하이브리드 스탠딩 드라이어’ 출시 外
기사입력:2022-12-12 13:45:1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3.05 | ▼13.56 |
코스닥 | 716.72 | ▼0.52 |
코스피200 | 336.58 | ▼2.1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04,000 | ▲634,000 |
비트코인캐시 | 520,000 | ▼500 |
이더리움 | 2,651,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50 |
리플 | 3,189 | ▼2 |
이오스 | 1,018 | ▲9 |
퀀텀 | 3,173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517,000 | ▲672,000 |
이더리움 | 2,65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40 | ▲60 |
메탈 | 1,212 | ▼3 |
리스크 | 787 | ▼4 |
리플 | 3,190 | ▼2 |
에이다 | 1,015 | ▼3 |
스팀 | 215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430,000 | ▲630,000 |
비트코인캐시 | 518,500 | ▼2,000 |
이더리움 | 2,65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70 | ▼20 |
리플 | 3,188 | ▼3 |
퀀텀 | 3,177 | 0 |
이오타 | 30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