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진가영 기자] 혼인기간이 길거나 공무원연금 같이 일방 배우자의 연금수급액이 많은 경우 이혼을 결정할 때, 이혼 시 국민연금·공무원연금 같은 연금을 나눌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높다.
과거 연금은 법원 판례를 통해 재산분할의 대상으로 인정받기 시작하면서 재산분할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후 국민연금법, 공무원연금법 등 각종 연금법 규정을 정비하여 각종 연금법에서 이혼한 배우자의 연금을 분할해 공단으로부터 직접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신설되었다. 이를 ‘분할연금제도’라고 한다.
국민연금법이 정하는 노령연금은 이혼한 배우자가 노령연금 수급권자이고 그 배우자와의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이며 본인이 60세가 되었다면, 배우자의 노령연금액 중에서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금액을 분할하여 받게 된다.
다만, (협의/재판)이혼에 따른 재산분할 절차에서 분할 비율을 달리 정할 수 있는데, 그 분할 비율은 공단에 신고하여야 한다. 분할연금 지급 신청은 위 요건을 모두 갖춘 때로부터 5년 이내(2016.12.30.이전에는 3년 이내)에 청구해야 한다.
한편, 오래전 이혼했다면 분할연금 신청을 잊거나 기간을 놓쳐 분할연금이 소멸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령과 상관없이 이혼 후 3년 이내에 분할연금을 미리 청구(청구/취소 1회에 한함)해 둘 수 있도록 분할연금 선청구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분할연금이 실제 지급되는 시기는 위의 분할연금 수급권 자격이 모두 충족(주로 도달 연령)된 이후가 된다.
국민연금 분할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은 △1952년생 이전: 만60세 △1953~1956년생 : 만61세 △1957~1960년생 : 만62세 △1961~1964년생 : 만63세 △1965~1968년생 : 만64세 △1969년생 이후 : 만65세 이다.
공무원연금법이 정하는 퇴직연금(또는 조기퇴직연금)의 경우에는, 국민연금법이 정하는 노령연금과 유사하지만, 이혼한 배우자와의 혼인기간 5년이 ‘배우자가 공무원으로 재직한 기간 중의 혼인기간’이어야 하고, 수급 연령이 65세이며,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이 3년 이내이고, 퇴직연금을 받지 않고 일시금을 청구하는 경우에도 분할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는 점 등이 국민연금과는 차이가 있다.
분할연금제도는 각종 연금법마다 그 제도를 도입한 최초 시행일(국민연금법 1999년 1월 1일, 공무원연금법 2016년 1월 1일) 이후에 연금수급자와 이혼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국민연금법은 분할연금 대상이 되는 혼인기간에서 “①이혼 당사자 간에 실질적인 혼인관계가존재하지 아니하였던 것으로 합의한 기간, ②법원의 재판 등에 의하여 실질적인 혼인관계가 존재하지 아니하였던 것으로 인정된 기간”은 제외하도록 정하고 있고(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5조의 제2항), 분할연금에 대한 비율 또한 원칙적으로 균등 비율이나, 협의 이혼 또는 재판상 이혼 절차에서 그 비율이 별도로 결정된 경우에는 그에 따르도록 정하고 있으므로이혼 후 장래에 분할연금지급 문제가 없도록 이혼사건 경험이 풍부한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필요성이 있다.
도움말=법무법인 유앤아이 이혼상속 전담센터 김영정 변호사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이혼 시 재산분할, 국민연금도 나눌 수 있나요?
기사입력:2022-10-25 11:25: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100,000 | ▼191,000 |
비트코인캐시 | 586,000 | 0 |
이더리움 | 3,404,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390 | ▲190 |
리플 | 3,347 | ▼6 |
이오스 | 1,282 | ▲7 |
퀀텀 | 3,46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078,000 | ▼207,000 |
이더리움 | 3,407,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400 | ▲170 |
메탈 | 1,258 | ▲2 |
리스크 | 768 | ▼4 |
리플 | 3,348 | ▼4 |
에이다 | 1,121 | 0 |
스팀 | 21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050,000 | ▼260,000 |
비트코인캐시 | 586,500 | ▲1,000 |
이더리움 | 3,403,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430 | ▲230 |
리플 | 3,348 | ▼7 |
퀀텀 | 3,486 | 0 |
이오타 | 34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