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전통적인 패키지 및 콘솔 게임업계에서 매년 3~4분기는 신작의 계절이었다. 연도별 넘버링으로 제작되는 스포츠 게임을 비롯, 글로벌 게임업계는 ‘오버워치 2’,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등의 신작을 연이어 출시중이다. 반면 국내 게임사들은 기대작의 출시 지연 소식이 이어지며 숨고르기에 들어간 상황. 이에 로이슈는 팬데믹 이후 3년만에 정상 개최되는 ‘지스타 2022’를 통해 K-게임업계가 공개 준비중인 내년 기대작을 알아봤다.
◇네오위즈, 게임스컴 3관왕 ‘P의 거짓’ 소개
네오위즈는 지난 8월 독일 ‘게임스컴’ 공개 이후 해외에서부터 입소문을 타고 있는 기대작 ‘P의 거짓’의 데모 버전을 이번 지스타에서 한글 자막과 함께 소개한다.
언리얼 엔진 4로 개발된 ‘P의 거짓’의 배경은 19세기말인 벨에포크 시대로 고전 ‘피노키오’를 각색한 잔혹동화 액션 게임이다. ‘P의 거짓’은 소울라이크 싱글 플레이 액션 RPG를 표방하며, 각 무기를 부위별로 조합하는 시스템과 팔 부위를 개조해 다양한 스킬 사용을 지원한다.
P의 거짓은 지난 8월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 세계 3대 게임쇼 ‘게임스컴(Gamescom) 2022’에 단독 부스로 참가, 시네마틱 영상과 플레이 영상, 2시간 분량의 시연 가능한 데모 버전을 공개했다. 게임스컴 어워드 2022는 ‘P의 거짓’을 ‘최고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Best Action Adventure Game)’과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Best Role Playing Game)’, ‘가장 기대되는 플레이스테이션 게임(Most Wanted Sony PlayStation Game)’에 선정했다. 게임스컴 3관왕은 한국 게임 개발사 최초의 기록이다.
네오위즈는 이번 ‘지스타 2022’에서 100부스 규모로 참여하며 ‘P의 거짓’을 알릴 예정이다. P의 거짓은 콘솔 및 PC 플랫폼으로 개발 중이며 2023년 출시 예정이다.
◇위메이드, 레전드 오브 이미르로 위믹스 생태계 확장 나선다
지난해부터 ‘위믹스’를 앞세워 게임과 블록체인의 결합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중인 위메이드는 올해 ‘지스타 2022의 메인 스폰서를 맡았다. 최근 위믹스 메인넷을 오픈한 위메이드는 위믹스 이코노미 생태계 구축의 차기 주자로 ’레전드 오브 이미르‘를 꼽고 있다.
내년 출시 예정인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위메이드의 주력 IP인 ’미르 시리즈‘를 북유럽 신화 배경 세계관으로 재해석한 MMORPG로 언리얼 엔진 5로 개발중이다. ’이미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최초의 생명체인 거인으로, 동시에 미르 시리즈의 연계작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위메이드 게임답게 출시 이전부터 블록체인 기술 탑재를 예고했으며, 글로벌 원빌드로 모바일과 PC 크로스 플랫폼으로 준비중이다.
위메이드는 이번 지스타에서 ’레전드 오브 이미르‘와 매드엔진의 나이트크로우(Night Crow)를 공개할 예정이다.
◇신작 4종 공개하는 넷마블, 인기 IP 원작 구현부터 세계관 확장까지
넷마블은 지난 17일 지스타에서 선보일 출품작 라인업으로 ‘나 혼자만 레벨업:ARISE(이하 ’나혼렙‘)’를 비롯, ‘아스달 연대기’,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하이프스쿼드’ 등 신작 4종을 선정했다.
‘나혼렙’은 웹소설 ‘나혼자만 레벨업’ IP를 사용한 액션 RPG로, 전투 및 성장 요소 외에 캐릭터별 액션 스타일 구축과 원작 핵심 요소인 그림자 군단 육성, 헌터들의 길드원 모집 등도 구현될 예정이다.
넷마블은 이번 지스타에서 웹툰 원작 IP 기반의 스토리 모드와 게이트 보스 처치 시간을 놓고 경쟁하는 타임어택 모드, 주인공 성진우 외 다양한 헌터를 체험해볼 수 있는 게이트 모드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함께 소개되는 ‘아스달 연대기’는 기후 변화에 따른 플레이와 세력 간의 정치·경제적 갈등 및 협력 등을 구현한 심리스(Seamless) 오픈월드 MMORPG로 ,넷마블은 스튜디오 드래곤과 함께 ‘아스달 연대기’ 시즌2부터 IP 공동 개발에 참여해 드라마 작가와 협업해 확장된 세계관 기반의 게임을 개발중이다.
이번 지스타에서는 ‘아스달 연대기’의 서사를 체험할 수 있는 시나리오 모드와 3개 세력이 맞붙는 대규모 전투 ‘개척전’ 등이 공개될 예정이다.
그 외에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은 3인칭 슈팅(TPS)과 MOBA 장르가 혼합된 게임으로, ‘하이프스쿼드’는 미래 도심에서 펼쳐지는 실시간 배틀로얄 게임으로, PC 게임으로 개발중이다.
넷마블은 지스타에서 100부스 규모의 넷마블관을 조성할 예정으로, 총 160여대의 시연대와 오픈형 무대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크래프톤 ‘칼리스토 프로토콜’ 데드 스페이스 원작 팬 기대감↑
크래프톤은 서바이벌 호러 ‘칼리스토 프로토콜’의 연내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있다.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올해 12월 2일(북미 기준) 플레이스테이션4와 5, 엑스박스 원, 엑스박스 시리즈 X|S 등의 콘솔과 스팀 및 에픽게임즈 스토어 기반 PC 게임으로 글로벌 출시된다.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제작자 글렌 스코필드(Glen Schofield)가 제작을 맡은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2320년 목성의 위성인 ‘칼리스토’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서바이벌 호러 게임으로 3인칭 스토리 기반으로 진행된다. 근거리 전투 및 슈팅 조합 활용 등의 전술을 통해 블랙아이언 교도소를 혼돈에 빠뜨린 정체불명의 전염병 사태로부터 생존하는 것이 게임의 목표다.
크래프톤 ‘호러 엔지니어링(Horror Engineering)’이라는 게임 디자인 방식을 적용해 긴장감, 절망감, 분위기, 인간적인 면을 활용한 호러 요소를 살려 개발중이라고 설명했다.
글렌 스코필드 대표는 “게임 컨트롤러를 내려놓은 후에도 이용자 머릿속에 오래도록 잔상이 남을 짜릿한 경험과 공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게임 디렉터로서 게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수십 년 간 열정을 다해온 서바이벌 호러 게임 장르인만큼, 올 연말 차세대 콘솔에서 칼리스토 프로토콜이 서바이벌 호러 장르의 새로운 장을 열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크래프톤 김창한 대표는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칼리스토 프로토콜을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며 “SDS는 크래프톤의 대표적인 서구권 독립스튜디오이며 뛰어난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크래프톤은 SDS가 특유의 색깔과 게임 디자인 기법을 통해 독창성 있는 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게임즈, 전쟁 컨텐츠 강조한 ‘아키에이지 워’ 공개
카카오게임즈는 원작 아키에이지 제작사인 엑스엘게임즈를 통해 MMORPG ‘아키에이지 워’를 준비중이다.
‘아키에이지 워’는 언리얼 엔진4를 활용해 PC/모바일 크로스플랫폼 MMORPG로 개발중이며,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원작 '아키에이지'에서 전쟁 콘텐츠를 포함한 대규모 전투 요소를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아키에이지 워’에선 필드전과 대규모 공성전, 해상전도 지원될 예정이다.
‘아키에이지 워’의 BI 콘셉트는 ‘피의 소용돌이’로, 원작의 심볼 디자인을 유지하되 한층 공격적이고 전투적인 게임의 성향을 반영할 것이라고 카카오게임즈측은 설명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아키에이지 워'는 글로벌 2,000만 명에게 사랑받은 '아키에이지' IP를 활용한 코어 MMORPG로, 시장에 색다른 전투의 재미를 즐길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3년간 사업 체질 개선과 코로나19 여파로 지스타에 참석하지 않았던 넥슨도 다량의 신작 라인업을 공개할 예정이다. 넥슨은 '퍼스트 디센던트', '베일드 엑스퍼트', '워헤이븐', '마비노기 모바일', '프라시아 전기' 등의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다.
넥슨은 다음달 2일 지스타 2022 프리뷰 행사를 열고 지스타 라인업과 부스 콘셉트를 공개할 예정이다.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2’는 오는 11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창간특집] 숨고르기중인 K-게임, ‘지스타’에서 신작 공개하며 반등 도모
기사입력:2022-10-24 23:40:5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498,000 | ▲394,000 |
비트코인캐시 | 533,500 | ▲500 |
이더리움 | 2,660,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40 |
리플 | 3,217 | ▲2 |
이오스 | 983 | ▲2 |
퀀텀 | 3,150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603,000 | ▲496,000 |
이더리움 | 2,66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20 |
메탈 | 1,219 | ▲1 |
리스크 | 792 | ▲4 |
리플 | 3,219 | ▲1 |
에이다 | 1,017 | ▲2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510,000 | ▲370,000 |
비트코인캐시 | 535,000 | 0 |
이더리움 | 2,656,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10 |
리플 | 3,216 | ▼3 |
퀀텀 | 3,153 | ▲51 |
이오타 | 30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