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감정노동자들의 권익 증진을 위해 ‘온라인 감정노동 권리보장 교육’을 개설해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경기도 감정노동자의 보호 및 건전한 근로문화 조성에 관한 조례」를 바탕으로 지난 2020년부터 추진되어 온 ‘경기도 감정노동자 등 심리치유 지원 사업’의 일환이다.
코로나19 상황과 감정노동자들이 더욱 편리한 환경에서 권리 증진을 위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번 온라인 동영상 교육을 개설하게 됐다.
교육은 ▲감정노동 인식개선 등 권리보장 교육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인권과 성인지 교육 ▲감정노동 개념과 사례 등 사용·관리자 교육 ▲스트레스 조절 등의 심리역량 교육 4개 영역으로 구성됐다.
특히 감정노동이 각자 다른 근무 형태를 보이는 점을 고려, 감정노동의 특징 및 유형에 대한 기본 교육부터 감정노동자 보호조치의 실제 적용사례, 감정노동 피해 상황 시 대응 방안 등의 다양한 내용을 두루 담았다.
또한 상담학과 교수와 변호사, 노무사 등 다양한 관련 전문가들이 강사로 참여해 교육의 전문성을 한층 더 높였다.
이번 교육은 무료로 진행되며, 개인용 컴퓨터(PC)와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등을 비롯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 들을 수 있다.
도는 향후 감정노동자의 심리치유 및 전문성 향상을 도울 수 있는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추가 제작해 감정노동자를 위한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 밖에도 도는 감정노동자 등 심리치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권리보장 교육, 심리 치유 상담, 인식개선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으며, 많은 감정노동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실제로 심리상담을 받았던 간호조무사 A씨는 “존중받는 기분이 무엇인지 알게 됐다. 상대방의 기분과 의중을 살피지 않아도 되고 오롯이 나한테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생긴 것만으로 치유가 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권리보장 교육에 참여한 관공서 민원 담당자 B씨는 “참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됐다. 감정노동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배진기 노동권익과장은 “경기도 감정노동자 등 심리치유 지원 사업이 도내 감정노동자들의 심리 치유와 역량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라며 “앞으로도 감정노동자가 건강한 마음으로 안전한 일터에서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도내 거주 또는 도내 소재 사업장 근무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무료 심리상담도 지원 중이다. 1회당 최대 50분으로 총 10회까지 가능하며, 상담사가 직접 내담자를 찾아가거나 전화 상담, 비대면 상담도 가능하다.
프로그램 신청 등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감정노동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경기도, ‘온라인 감정노동 권리보장 교육 프로그램’ 개설·무료 운영
“아픈지 모르고 일하는 당신, 마음의 돌봄이 필요합니다” 기사입력:2022-09-29 16:18: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26.45 | ▲22.03 |
| 코스닥 | 898.17 | ▼3.72 |
| 코스피200 | 568.38 | ▲2.98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882,000 | ▼512,000 |
| 비트코인캐시 | 716,000 | ▼500 |
| 이더리움 | 5,055,000 | ▼2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290 | ▼110 |
| 리플 | 3,428 | 0 |
| 퀀텀 | 2,594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950,000 | ▼369,000 |
| 이더리움 | 5,055,000 | ▼2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350 | ▼80 |
| 메탈 | 625 | ▲2 |
| 리스크 | 272 | 0 |
| 리플 | 3,427 | 0 |
| 에이다 | 797 | ▼3 |
| 스팀 | 114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3,870,000 | ▼380,000 |
| 비트코인캐시 | 715,000 | ▼3,500 |
| 이더리움 | 5,050,000 | ▼3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270 | ▼140 |
| 리플 | 3,427 | ▼1 |
| 퀀텀 | 2,592 | ▼2 |
| 이오타 | 192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