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CJ CGV,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영화관 부문 1위
CJ CGV(대표 허민회)는 한국생산성본부가 발표한 2022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National Brand Competitiveness Index)에서 13년 연속 멀티플렉스 영화관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는 연간 3만 명이 넘는 소비자가 참여해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고객 충성도 등을 평가하는 공신력 있는 브랜드 평가 지표다.
CJ CGV 관계자는 "1998년 CGV강변 오픈과 함께 국내 최초로 멀티플렉스를 도입해 영화관람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 온 CJ CGV는 영화라는 근원적 가치에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접목시킨 복합문화공간 '컬처플렉스'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라며 "또한, 고객이 즐겁게 극장 나들이를 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다양한 콘텐츠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과감한 변화와 혁신도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다양한 고급 특별관 및 기술 특별관을 선보이며 차별화된 고객 경험 및 콘텐츠 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다. 지난 6월에는 CGV영등포에 스크린X PLF(Premium Large Format)와 프라이빗 박스(PRIVATE BOX)를 새롭게 선보였다"라며 "글로벌 최장 길이의 스크린을 적용한 스크린X PLF를 론칭해 CGV영등포는 영스엑이라는 신조어를 이끌어 내며 스크린X의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이빗 박스’는 프라이빗한 관람 경험과 프리미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 타입의 독립된 상영관으로 CGV영등포에 론칭한 이후 CGV인천, 압구정 등 다양한 지역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확대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마니아층을 형성하며 특별관 관람 열풍 중심에 서 있는 IMAX관을 강남권역 최초로 CGV압구정에 선보이는 등 영화 관람의 경험을 더욱 특별하게 하는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CJ CGV는 2022년 글로벌고객만족도(GCSI) 영화관 부문 1위, 2022년 프리미엄 브랜드 지수(KS-PBI) 영화관 부문 1위, 2019년 국가고객만족도조사(NCSI) 영화관 부문 1위 등 각종 평가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며 고객에게 가장 사랑 받는 영화관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제20회 한국 로봇항공기(드론) 경연대회’ 성료
‘제20회 한국 로봇항공기(드론) 경연대회’가 9월 3일 청주 소재 공군사관학교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주최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이하 항공우주협회)가 주관하는 ‘한국 로봇항공기(드론) 경연대회’는 청년 인재들이 주어진 고난도 임무를 수행하며 드론 개발기술 역량(자율 비행 SW, 임무 수행 장비 등)을 겨루는 대회다.
◆슈퍼넥스, 배우 오대환과 함께 ‘슈퍼윈포커’ 캠페인 진행
배우 오대환과 게임모델 김정현이 ‘슈퍼윈포커’에 새로운 얼굴로 발탁됐다. 넥스넷과 플라이소프트는 자사 게임 플랫폼인 ‘슈퍼넥스’에서 서비스중인 ‘슈퍼윈포커’의 새로운 홍보 모델과 함께 대규모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5일 발표했다.
이번 캠페인은 탑클래스 배우 오대환과 함께 ‘슈퍼윈포커’에서 최고의 실력자를 찾고 승부를 겨룬다는 스토리로 전개된다.
오대환은 다채로운 게임플레이로 관심을 이끌어 나가는 동시에 게임 곳곳에 등장해 이용자가 배우와 함께하는 듯한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CJ CGV,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영화관 부문 1위 外
기사입력:2022-09-05 11:24: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95,000 | ▲249,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000 |
이더리움 | 2,617,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70 | ▼40 |
리플 | 3,183 | ▲8 |
이오스 | 982 | ▲4 |
퀀텀 | 3,123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00,000 | ▲180,000 |
이더리움 | 2,617,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00 | ▲50 |
메탈 | 1,215 | ▲1 |
리스크 | 792 | ▲3 |
리플 | 3,184 | ▲8 |
에이다 | 997 | ▲5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00,000 | ▲29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2,000 |
이더리움 | 2,619,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40 |
리플 | 3,185 | ▲9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