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대상라이프사이언스㈜가 중국 최대 제약그룹 시노팜의 자회사 시노팜인터내셔널(중국국제의약위생유한공사)와 하이난성 단저우시 양푸 내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하며 70조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투자의향서 체결식은 지난 26일 중국 하이난에서 진행됐으며, 코로나19의 확산세를 고려해 대상라이프사이언스㈜ 서훈교 대표이사, 대상홀딩스㈜ 최성수 대표이사, 대상㈜ 임정배 대표이사 및 관계자는 화상으로 참석했다. 현장에는 시노팜인터내셔널 저우송 CEO, 시노팜헬스케어(국약대건강산업유한공사) 리하오 CEO, 쉬양 부사장, 둥빙 부사장, 왕민 단저우부시장과 대상(북경)식품유한공사 임직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시노팜인터내셔널과 중국의 ‘건강한 중국 2030’ 및 ‘하이난자유무역항 건설’ 국가발전전략을 토대로 건강산업 분야에서 공동 협력한다.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특수의료용도식품(환자용식품 등)∙건강기능식품∙기능성일반식품의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제품 연구개발, 생산, 경영 관리 및 마케팅 등 여러 방면에서 전방위로 협력한다. 합작법인은 대상라이프사이언스㈜의 ‘뉴케어’, ‘웰라이프’ 등 건강식품 브랜드와 성공적인 공장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추후 중국을 필두로 글로벌 시장까지 공략할 방침이다.
양사는 하이난에 글로벌 생산 인프라와 경쟁력을 갖춘 특수의료용도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 공장 건설을 진행하고, 일반 무역 등의 제휴를 통해 대상라이프사이언스㈜의 제품 판매를 추진할 예정이다.
최근 중국 내에서 당뇨 및 암 외에도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특수의료용도식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특수의료용도식품에 대한 해외 기업의 진출 문턱을 낮추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점쳐진다.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대상홀딩스㈜의 자회사로 환자용 균형영양식 국내판매 1위 브랜드 ‘뉴케어’와 단백질 전문 브랜드 ‘마이밀’, 신뢰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웰라이프’ 등을 보유하고 있다.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대상그룹 66년의 식품 연구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합작법인의 제품 연구개발부터 마케팅까지 지원한다. 매출액 590억 위안(약 11조 4,613억원, 2021년 기준)을 달성한 시노팜인터내셔널은 시노팜의 자회사로, 그룹 내 해외사업과 의료건강산업을 담당하고 있다. 시노팜인터내셔널은 병원∙약국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합작법인 제품의 유통과 판매에 힘을 실을 계획이다.
서훈교 대상라이프사이언스㈜ 대표이사는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작년 말에 준공한 천안 2공장의 HACCP∙GMP 인증 획득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을 입증한 바 있다”며,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노팜그룹과 적극적인 투자 및 협력을 통해 70조 규모의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및 글로벌 건강식품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창립 66주년을 맞이한 대상그룹은 순수 국내자본과 기술로 설립돼 세계 일류의 발효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종합식품그룹이다. 식품, 바이오, 전분당, 유통,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핵심 계열사인 대상㈜와 대상라이프사이언스㈜ 등 국내외 총 35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최근에는 헬스케어 부문의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대상라이프사이언스㈜, 中 시노팜그룹과 합작법인 설립 투자의향서 체결
기사입력:2022-07-27 14:29: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29,000 | ▲161,000 |
비트코인캐시 | 533,500 | ▼500 |
이더리움 | 2,616,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20 | ▲10 |
리플 | 3,185 | ▲11 |
이오스 | 981 | ▲2 |
퀀텀 | 3,11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60,000 | ▲173,000 |
이더리움 | 2,618,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20 | ▲20 |
메탈 | 1,215 | ▲1 |
리스크 | 789 | ▼4 |
리플 | 3,185 | ▲10 |
에이다 | 998 | ▲5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70,000 | ▲27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2,000 |
이더리움 | 2,617,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40 |
리플 | 3,186 | ▲12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