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 개발

기사입력:2022-06-30 23:25:10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정승일) 배전계획처는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 ADMS를 지난 2020년에 개발 완료하고 2021년부터 충북본부에 설치해 실제 계통에서 검증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ADMS는 한전 배전계획처와 전력연구원이 함께 약 300억 원의 예산과 4년의 기간 동안 산학연 협동 연구를 통해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됐으며, 충북지역 전체 배전선로에 적용해 현재까지 정상적으로 운전하고 있다.

이번에 구축·운영 중인 ADMS는 첨단 IC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시스템으로 기존의 배전망 운영시스템인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대체하여 배전계통을 실시간 운영하고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업무에 활용된다.

ADMS는 선로의 전기품질 상태와 정전이 발생할 경우 고장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했으며, 특히, 실시간 계통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양방향 전력흐름, 부하·발전량, 전압 등 배전망의 전기품질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했다.

한전은 본격적인 전사 확대에 앞서 전국 사업소의 업무 담당자들에게 개발내용과 구축방안을 공유하고 개발 및 시범사업에 공로가 있는 직원과 협력사를 격려하기 위해 30일 충북지역본부에서 'ADMS 시범운영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성과보고회에는 박상서 한전 전력솔루션본부장을 비롯해 본사와 전력연구원, 전국 사업소 배전자동화 담당자, 개발에 참여한 7개 협력사 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한편, 한전은 올해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 전북, 광주전남 3개 본부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전국 15개 지역본부에 ADMS를 모두 구축하여 전국 배전망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ADMS의 전사 확대가 완료되면 배전망 재생에너지 연계 용량을 2,341MW 추가 확보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배전망 건설을 줄일 수 있어 약 3,092억원의 예산 절감이 가능함. 또한 첨단 ICT 기술 적용에 따른 설비 효율화로 유지보수 비용을 매년 약 51억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도 탄소중립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배전망 계획 및 운영 솔루션들을 다양하게 개발·적용하여 전력 배전망을 통합제어하고 안정적인 전기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848,000 ▲446,000
비트코인캐시 534,000 ▼2,000
이더리움 2,658,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300 ▼20
리플 3,222 ▼2
이오스 983 ▲1
퀀텀 3,151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869,000 ▲386,000
이더리움 2,663,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10 ▼50
메탈 1,222 ▲1
리스크 792 ▲0
리플 3,224 ▼6
에이다 1,014 ▼4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780,000 ▲290,000
비트코인캐시 533,500 ▼1,000
이더리움 2,65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290 0
리플 3,222 ▼5
퀀텀 3,153 ▲51
이오타 30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