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횡재 흑자’, 공정한가”보도에 대한 해명, 반박 나서

기사입력:2022-06-09 18:01:10
[로이슈 김영삼 기자] 가스공사는 9일, 1분기 역대급 흑자(9,126억 원)를 냈으나, 한전은 최악의 적자(7조 7,869억 원) 기록. 정부가 승인한 마진(적정투자보수)에 의한 정부 도움으로 ‘횡재’를 얻은 것 아닌지 의문'이라는 동아일보 보도 내용에 대해 가스공사 원료비는 Pass-through(마진을 더하지 않고 도입가격 그대로 판매)로, 공급규정 개정과 영업이익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가스공사측은 국내 부문 이익은 판매 특성상 1분기(1∼3월)에 연간 영업이익의 대부분이 발생하며, 전년 대비 ‘22년 1분기 영업이익 증가는 판매물량 증가 및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해외법인의 이익 증가 등에 기인한다고 해명했다.

최근 5개년 평균 영업이익과 비교 시 '22년 영업이익'은 유사한 수준이라고 공사는 설명했다.

최근 5개년 1분기 영업이익도 민수용 원료비 동결 등에 따라 ‘22년 3월말 원료비 미수금 총액은 6조원 이상이며, 이에 따른 차입금 조달로 부채비율 400% 초과하여 민수용 요금의 단계적인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공사는 전했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12월 공급규정을 개정하여 장기계약 대신 현물시장에서 비싸게 도입한 LNG 비용을 발전사에 책임지게 하였디'라는 내용에 대해서도 국제 현물가격 급등에 따른 소비자 간 원가 왜곡 발생. 역사상 최고가 위기상황에서 발전 수요 증가로 고가 현물 구매 급증,기존 평균원료비 체계에서는 원인 유발자와 무관한 용도별 동일요금 부담으로 교차보조 발생 및 서민 부담이 증가한 것이원인이라고 강조했다.

민수용 소비자 부담이 매월 약 5천억 원 증가 전망에 대해서도 인과관계에 따른 용도별 원가 배분으로 요금의 합리성 제고 및 민수용 수요자 부담 경감,에너지 가격 위기 대응을 위한 요금시스템으로 개선하여 원가배부 합리성 제고 ⇨ 인과관계에 따라 용도별 원가 기준 요금 부담, 현물가격 상승 시 가격 시그널 제공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타 발전원 가동을 유도 ⇨ 국가 수급관리 비용 최소화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가스공사는 SPOT을 포함한 가스 수급은 석탄·원전·신재생 등 타 전원의 가동 상황에 따라 정해지며, 국내 발전사 및 정부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의 하에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59,000 ▲142,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5,000
이더리움 3,987,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200
리플 3,757 ▲100
퀀텀 3,010 ▲2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358,000 ▲358,000
이더리움 3,989,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230
메탈 1,023 ▲13
리스크 573 ▲6
리플 3,747 ▲94
에이다 975 ▲23
스팀 1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8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3,500
이더리움 3,991,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200
리플 3,758 ▲103
퀀텀 3,002 ▼14
이오타 249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