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22년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 추진···총 280억 원 사업비 투자

13개 시군 94개 농가 대상 스마트 축사시설 보급·확대 기사입력:2022-05-03 16:30:24
자동 사료배합 및 급이기

자동 사료배합 및 급이기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올해 도내 94개 농가를 대상으로 국비 84억 원, 도비 11억 원 등 총 28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2022년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 FTA기금 사업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모니터링·원격제어 등 자동화 시설·장비를 보급해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함으로써 축산농가의 소득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목적을 뒀다.

앞서 도는 2021년 9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도내 245개 농가를 대상으로 사전컨설팅, 서류심사, 전문가 심의 등의 절차를 진행한 후, 고양시 등 13개 시군 94개 농가를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축종별로는 ▲한우 15개 농가, ▲낙농 51개 농가, ▲양돈 18개 농가, ▲양계 9개 농가, ▲양봉 1개 농가가 선발됐다.

특히 타 시도의 경우 농식품부 사업지침에 따라 국비 30%, 융자 50%, 자부담 20% 비율로 지원하고 있지만, 도는 융자의 40%를 지방비로 지원해 농가의 부담을 덜어 주는 데 주력했다.

이번에 선정된 94개 농가는 축종별 사육두수를 고려해 농가 1곳당 최대 15억 원 한도 내에서 축산ICT 융복합 장비를 지원받아 ‘스마트축사’ 조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지원 항목은 생산경영관리 프로그램, 축사 내﹑외부의 환경 모니터링 및 조절 장비, CCTV(실시간 원격제어, 모니터링 가능 제품에 한함), 원격(또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자동화 장비 등이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도내 축산농가에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보급 확산함으로써 최적의 사양관리를 도모, ‘생산성 향상 20%’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환경을 조성하는 사업” 이라며 “환경관리, 사양관리, 경영관리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축사시설을 보급·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01,000 ▲169,000
비트코인캐시 827,500 ▲500
이더리움 6,472,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0,300 ▲20
리플 4,310 ▼7
퀀텀 3,641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68,000 ▲63,000
이더리움 6,47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00 ▼30
메탈 1,011 ▲1
리스크 530 0
리플 4,308 ▼5
에이다 1,259 ▲4
스팀 18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0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827,000 0
이더리움 6,47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250 0
리플 4,309 ▼11
퀀텀 3,659 ▲24
이오타 27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