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슈]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건강기능식품 ‘간편하니’ CJ 홈쇼핑 론칭 外

기사입력:2022-04-26 18:07:13
[로이슈 편도욱 기자]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건강기능식품 ‘간편하니’ CJ 홈쇼핑 론칭

코스닥 상장기업 ‘에이치앤비디자인’의 자회사인 건강기능식품 제조자 개발생산(ODM) 전문 기업 ‘아리바이오에이치앤비’는 비알코올성 간 기능 개선 제품 ‘간편하니’를 CJ 홈쇼핑에서 오는 4월 27일 09시 25분부터 60분간 첫 론칭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CJ 홈쇼핑 런칭을 시작으로 라이브커머스, 인포모셜, 유통전문판매등의 다각적인 시장 진입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간편하니’의 핵심 원료 ‘댕댕이나무 열매’는 2019년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비알코올성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해외에서는 일명 허니 베리(honey berry), 블루 허니 써클(blue honeysuckle)로도 불리는 ‘댕댕이나무열매’는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유럽식품안전청(EFSA)에서도 안정성을 인정받은 원물로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비알코올성 간 기능 개선 원료로는 ‘댕댕이나무 열매’가 유일하며, 주로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열매로 백두산 자연에서 채취한 원물을 사용해 제조한다. 그리고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식약처에서 인증된 기능성 비알콜성 간기능개선 개별 인정형 원료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이용해 ‘간편하니’ 제품을 개발한 것이다.

댕댕이나무 열매의 효능은 안토시아닌의 기능성 성분인 C3G(Cyniadin-3-glucoside)가 풍부하여 강력한 항산화 기전을 바탕으로 비알코올성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한국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섭취 12주 동안의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한 결과 간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AST 및 ALT 효소 수치가 유의적인 감소로 개선됨을 확인했다.

특히 지방간 환자 수의 80%를 차지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의 발병률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고 탄수화물 위주의 영양섭취와 비만 인구의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50대 중년 여성의 지방간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원인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감소 현상 또한 지방간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뚜렷한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현재 간 기능 개선과 관련한 기능성 원료로 인정된 것은 밀크씨슬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복분자 추출분말 등이 있다. 하지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는 기능성 원료가 없어, 이와 관련된 새로운 소재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초 출시한 ‘간편하니’는 부재했던 비알코올성 간 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라며 판매채널 확대를 위해 다양한 경로로 영업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라 밝혔다.

◆쌤소나이트, ‘민터 워크스테이션’ 출시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쌤소나이트(Samsonite)가 시간과 장소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나만의 오피스로 변신하는 브리프케이스 ‘민터 워크스테이션(Minter Workstation)’을 새롭게 선보인다.

‘민터 워크스테이션’은 다양한 상황과 장소에서 근무하는 현대 직장인들의 ‘뉴 노멀(New normal)’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제품이다. 일반적인 브리프 케이스와는 달리 캐리어처럼 180도까지 펼쳐지는 것이 특징으로, 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편하게 수납하고 활용할 수 있어 출퇴근은 물론, 출장이나 외근 등 이동하는 중간에도 편하게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민터 워크스테이션’의 또 다른 특징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쌤소나이트의 전략을 반영한 친환경 소재이다. 외관에는 SONY사의 신소재 ‘소플라스(SORPLAS™)’를 사용했는데,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 환경에 대한 부담은 줄이면서도 일반 폴리카보네이트와 동일한 견고함을 갖췄다. 일반적인 재활용 폴리카보네이트는 재활용 소재를 약 30%만 사용하는 반면, ‘민터 워크스테이션’의 ‘소플라스’는 99%가 재활용된 플라스틱 물병으로 만들었다.

‘민터 워크스테이션’ 내부에는 두꺼운 탄성 밴드와 메쉬 포켓이 있어 최대 15.6인치 노트북을 비롯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니즈에 맞춰 분리할 수 있는 내부 디바이더와 편안한 핸들, 탈부착 가능한 어깨 스트랩 등 세심한 디테일을 더했다.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해 탄생한 제품인 만큼, 출장 등 장거리 이동 시 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뒷면에 캐리어 손잡이에 부착할 수 있는 디자인까지 갖췄다.

쌤소나이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팀 최지원 팀장은 “재택근무 활성화, 이동식 오피스 등 유연해진 근무환경이 ‘뉴 노멀’로 자리잡았다”라며 ‘최근 배우 소지섭과 촬영한 광고 캠페인에 등장해 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은 제품으로, 기능성 뿐만 아니라 시크한 디자인으로 스마트한 룩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을 위한 최고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민터 워크스테이션’은 프로페셔널하고 세련된 느낌의 블랙과 네이비, 두 가지로 출시되며, 가격은 198,000원이다. 구매는 쌤소나이트 오프라인 매장 및 공식 온라인몰에서 가능하다.

◆큐라클, 당뇨병성신증 치료제 CU 01 후기 임상연구 계획서 재신청

큐라클(365270, 대표이사 유재현)은 당뇨병성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CU01의 후기 임상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6일 공시했다.

당초 큐라클은 2a상 연구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인 e-GFR(추정사구체 여과율)을 1차 변수로 하여 3상 연구로 바로 진입할 계획이였다. 하지만 최근 미국 당뇨병성신증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다양한 용량과 세분화된 환자군에 대한 2b상 연구를 거쳐 3상 연구에 진입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효성 평가 변수로 30% uACR(요중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의 감소에 도달하는 비율, 신장 기능 주요 biomarker인 Cystatin-C, TGF-β1 등을 추가하여 신증치료에 필요한 다양한 지표 확인에 중점을 뒀다. 또한, 일일 240mg 과 360mg 두가지 용량에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아울러 미래에 예측되는 SGLT-2i 처방 증가로 인한 CU01과의 병용 요법 확인이 중요해짐에 따라 SGLT-2i를 병용하는 환자군 및 표준치료(ARB, ACEi)와 병용하는 환자군 등을 포함하여 더 다양한 환자군에서의 당뇨병성 신장 질환의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임상시험을 설계했다.

큐라클은 식약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임상계획을 수립했고,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최적의 용량과 환자군을 대상으로 3상 임상시험에 진입하여 신약 개발의 성공은 물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약물개발 과정에서 약물의 과학적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뿐 아니라, 약물의 상용화 과정에서 예측되는 기존 치료제에 대한 차별화 요소를 강화하는 것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큐라클의 개발전략”이라며, “이번 임상연구계획의 변경으로 인해 CU01의 출시 예상시기가 다소 지연됨에도 불구하고 임상성공 가능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확보를 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68.57 ▲8.78
코스닥 721.06 ▼0.80
코스피200 340.67 ▲1.8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53,000 ▲166,000
비트코인캐시 535,000 ▲2,000
이더리움 2,59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120 ▲160
리플 3,049 ▲11
이오스 986 ▲2
퀀텀 2,908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100,000 ▲449,000
이더리움 2,59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3,120 ▲210
메탈 1,103 ▲8
리스크 680 ▲9
리플 3,048 ▲10
에이다 965 ▲11
스팀 197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000,000 ▲300,000
비트코인캐시 534,000 ▲2,500
이더리움 2,593,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3,120 ▲220
리플 3,050 ▲12
퀀텀 2,906 ▲11
이오타 27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