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美 현지 진출 위한 'K-콘텐츠 인터뷰 영상 시리즈' 제작

기사입력:2022-04-07 17:32:52
[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K-콘텐츠의 북미시장 진출을 돕고자 미국 현지 미디어기업과의 인터뷰 영상을 제작해 미국비즈니스센터 유튜브에서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콘진원 미국비즈니스센터는 ‘한국 콘텐츠의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총 18편의 영상을 제작했다. ▲애덤 스테인먼(Adam Steinman) 부사장(워너 브라더스) ▲이동훈(Sebastian Lee) 대표(엔터미디어 콘텐츠) ▲박근희 대표(코코와)가 출연해 콘진원 주성호 미국비즈니스센터장과 함께 미국 방송영상콘텐츠 시장 동향과 현지진출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특히 잇달은 K-콘텐츠의 전 세계적인 성공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의 위상 변화를 짚어보고, OTT의 급성장으로 인한 미국 방송영상콘텐츠 시장의 지형 변화를 살피는 등 북미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콘텐츠기업과 창작자들에게 실질적인 정보와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된 인터뷰 영상에서 워너 브라더스의 애덤 스테인먼 부사장은 지난해 K-콘텐츠가 보인 활약을 높이 평가하며, 향후 미국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전략으로 ▲독창적인 설정과 아이디어 ▲글로벌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서사와 스타일 ▲글로벌 비즈니스 전개를 고려한 포맷 개발 등을 꼽았다. 또한, 애덤 스테인먼 부사장은 “미국에서 리메이크되어 인기를 끈 예능 <복면가왕>, <너의 목소리가 보여> 등을 잇는 또 다른 K-포맷을 2022년에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고 밝히며, K-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기대를 표하기도 했다.

애플TV+ 오리지널 드라마 <파친코>의 공동 수석 프로듀서와 ABC 드라마 <굿 닥터>의 수석 프로듀서 등을 맡았던 엔터미디어 콘텐츠의 이동훈 대표는 국내 콘텐츠기업들이 미국 시장 공략 시 필요한 요소에 대해 이야기한다. 또한, “미국 내에서도 제작사 간 인수와 합병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등 지형 변화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언어·문화권 출신의 작가와 배우, 감독들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며, “이와 같은 흐름은 2022년에도 지속될 것이며, 한국 콘텐츠기업과 창작자에게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주 지역에서 한국 방송영상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판 넷플릭스로 평가받고 있는 코코와의 박근희 대표는 코코와의 미국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타 OTT 플랫폼과는 달리 지상파 3사의 예능 <런닝맨>, <나 혼자 산다> 등을 오리지널 독점 콘텐츠로 제공하지 않고, 훌루, 컴캐스트 등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코코와만의 ‘비독점 콘텐츠 전략’으로 빠르게 미국시장 진입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코코와의 미국 내 전체 가입자 중 90% 이상이 한국인이 아닌 미국 현지인이고, 이 중 아시아인은 10% 미만이라는 점에서 K-콘텐츠의 성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고 전했다.

‘한국 콘텐츠의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 인터뷰 영상은 콘진원 미국비즈니스센터 유튜브(KOCCA USA)에서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20,000 ▲494,000
비트코인캐시 706,500 ▲6,000
이더리움 4,025,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990 ▲60
리플 3,805 ▲41
퀀텀 3,080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91,000 ▲478,000
이더리움 4,025,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5,020 ▲130
메탈 1,078 ▼10
리스크 604 ▼2
리플 3,804 ▲41
에이다 985 ▲18
스팀 19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00,000 ▲570,000
비트코인캐시 706,000 ▲6,500
이더리움 4,02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30
리플 3,804 ▲39
퀀텀 3,115 0
이오타 260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