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플러 그룹, 독일-미국-한국 협력의 전기차용 3열 트리피니티(TriFinity) 휠 베어링 개발

기사입력:2022-03-24 18:11:43
셰플러 전기차용 3열 트리피니티(TriFinity) 휠 베어링 이미지.(사진=셰플러 그룹)

셰플러 전기차용 3열 트리피니티(TriFinity) 휠 베어링 이미지.(사진=셰플러 그룹)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영삼 기자] 셰플러 그룹은 전기차전용 3열 휠베어링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셰플러 그룹은 베어링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셰플러가 새롭게 개발에 성공한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전동-파워트레인을 위한 3열 휠베어링으로 독일 본사와 미국, 한국 3개 지역이 최초로 협력 개발한 제품이다.

신제품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복열(2열) 볼베어링 타입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또한 수명이 훨씬 길고 마찰손실이 적어 동력전달 효율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며 캠버 강성도 향상됐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

이와 함께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은 크기가 작아 실(Seal)과 구름요소의 직경을 소형화 하여 마찰손실을 8~20% 개선해 동력전달효율은 물론,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에도 기여했다.

도시 주행 사이클 테스트(FPT75) 기준 테이퍼 허브베어링에 비해 마찰손실을 50% 이상 줄일 수 있으며, 차량 1대당 전기소비량도 0.7% 감소시켜 준다. 또한 셰플러의 ‘페이스 스플라인’ 기술을 접목해 베어링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구동토크를 최대 50%까지 증가시켜 주는 등 마찰토크와 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또한 셰플러의 자체 실험결과에 따르면 기존 내연기관 차량의 테이퍼 허브베어링을 모두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으로 교체할 경우 연비가 1~2%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회사는 전했다.

트리피니티(Trifinity) 휠베어링은 올해 말 또는 2023년 초부터 셰플러코리아의 전주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해 전세계에 공급될 예정이다.

한편 셰플러는 신제품 이외에도 베어링의 마찰손실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초 자동차 기술부서 내에 베어링사업부를 새롭게 신설, 제품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맞춤형 솔루션 개발시간 단축을 꾀하고 있다.

베어링사업부 책임자인 디터 아이라이너(Dieter Eireiner) 박사는 "e-모빌리티는 셰플러의 베어링사업에 중대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특히 시장 잠재력이 높은 볼, 원통 롤러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이미 유명 자동차 제조업체와 함께 유망한 여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혁신적인 베어링 기술은 차량의 주행거리를 크게 늘려 주기 때문에 소형 및 대형 상용차에도 매우 중요하므로, 고객과 협력해 베어링 기술을 한 차원 높은 단계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3,000 ▲96,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1,500
이더리움 4,006,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760 ▲110
리플 3,743 ▲18
퀀텀 3,085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47,000 ▲35,000
이더리움 4,01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750 ▲100
메탈 1,048 ▼22
리스크 601 ▼8
리플 3,743 ▲18
에이다 967 ▲5
스팀 19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2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0
이더리움 4,00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760 ▲90
리플 3,741 ▲16
퀀텀 3,077 ▲27
이오타 25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