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청, 2022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30교 선정

특성화고 맞춤형 직업교육 지원 및 브랜드 가치 높여 기사입력:2022-03-15 09:47:17
부산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석준)은 ‘2022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운영 학교를 공모, 특성화고 30개교를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맞춤형 직업교육을 지원하고, 특성화고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올해로 3년차로 접어든 이 사업은 학교별 특성과 상황 등을 반영하여 4개 유형으로 운영한다.

유형별로는 △‘가고 싶은 학교’에 경성전자고 등 6개교, △‘머물고 싶은 학교’에 금정전자고 등 7개교, △‘실력을 키우는 학교’에 대광고등학교 등 12개교, △‘꿈을 이루는 학교’에 경남공업고 등 5개교이다.

이들 특성화고는 공통과제로 현장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학생 인성 및 자존감 증진, 학생 진로지원 및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각 유형별 필수과제를 운영한다.

각 유형별 필수과제로 1유형은 신입생 충원을 위한 학교 특색 홍보 전략 프로그램, 2유형은 학업 중단 완화 특색 프로그램, 3유형은 취업‧창업 마인드 향상 프로그램, 4유형은 수업혁신 및 글로벌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이 사업을 위해 예산 40여억원을 들여 선정된 특성화고30개교에 학급수에 따라 1억~1억6,000여만원을 지원한다.

특히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학교별 성과 발표회를 통해 부산지역 특성화고와 우수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부산시교육청은 이 사업을 통해 지난 2020년 15개교, 2021년 26개교를 선정해 운영했다. 이들 학교는 신입생 충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체험 경진대회 등 중학생 직업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또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융합 수업 및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운영했다.

김석준 교육감은 “올해 3년차로 접어든 이 사업은 특성화고의 교육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특성화고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전문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직업교육기관이 되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8.00 ▲50.25
코스닥 798.60 ▲14.54
코스피200 431.25 ▲6.4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76,000 ▲152,000
비트코인캐시 772,000 ▼10,500
이더리움 5,017,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8,040 ▼120
리플 4,160 ▼10
퀀텀 2,866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96,000 ▲367,000
이더리움 5,021,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8,080 ▼70
메탈 994 ▼2
리스크 562 ▼3
리플 4,164 ▼9
에이다 1,015 ▼1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4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771,500 ▼11,500
이더리움 5,02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8,070 ▼190
리플 4,162 ▼7
퀀텀 2,872 0
이오타 25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