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우크라이나 긴장 고조 속 설 연휴 비상체계 운영

기사입력:2022-01-28 17:43:49
[로이슈 전여송 기자] 우크라이나의 나토(NATO) 가입 추진으로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KOTRA(사장 유정열)가 설 연휴 기간에도 비상 대응 체계를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KOTR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의 대러시아, 우크라이나 교역규모는 각각 273억 달러, 9억 달러로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 0.8% 수준이다. 그러나 러시아 침공 시 미국이 금융·무역 제재를 경고하고 있고, 교전 없이 긴장 국면만 지속되더라도 원유·가스·광물 등 원부자재 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현지 KOTRA 무역관은 “경제제재가 현실화되면 우리 가전, 휴대폰, 자동차와 부품 수출이 위축될 수 있고 러시아로부터 원유, 천연가스, 석탄, 그리고 우크라이나로부터 크립톤, 제논 등 광물 및 곡물류 공급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우리 유연탄·무연탄 수입에서 러시아산 비중이 각각 16%, 41%(2021년 기준)에 달하고, 우크라이나 수출기업들이 교전 발발 시 위험지역인 러시아, 벨라루스와 접경 지역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아직 기업들의 직접적인 피해가 크진 않지만, 러시아에 진출한 일부 기업들은 바이어로부터 조기 대금 회수, 선금 거래 및 루블화 하락에 대비해 달러화 보유 비중 확대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27개 해외무역관을 운영하며 글로벌 비즈니스 현장의 첨병 역할을 하는 KOTRA는 무역·투자 분야 나비효과에 대비하는 차원이다.

이를 위해 본사의 글로벌공급망실, 지역조사실 등이 주도하는 대책반을 구성하고 KOTRA 모스크바, 키예프 무역관과 인근 무역관이 참여해 대응 계획도 세웠다. 글로벌공급망 교란 요인에 대비해 최근 신설한 ‘글로벌공급망실’ 이 공급망 대응을 전담할 계획이다.

현재 KOTRA는 현지 진출기업, 러시아·우크라이나 바이어, 언론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연락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설 연휴 기간에도 지상사, 공관, 교민단체와 비상연락망 가동 및 상황별 시나리오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유정열 KOTRA 사장은 “혹시 있을 수 있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수출입, 글로벌공급망에 미칠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관련 기관과 협력해 피해 최소화와 진출기업, 국민 안전 지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35,000 ▲476,000
비트코인캐시 706,500 ▲5,500
이더리움 4,02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990 ▲70
리플 3,812 ▲36
퀀텀 3,080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99,000 ▲482,000
이더리움 4,024,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010 ▲100
메탈 1,073 ▼51
리스크 602 ▼4
리플 3,811 ▲35
에이다 985 ▲13
스팀 19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0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706,500 ▲6,000
이더리움 4,024,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30
리플 3,814 ▲39
퀀텀 3,115 0
이오타 260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