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삼양그룹 창립 97주년, ‘글로벌 스페셜티 솔루션 기업’ 도약 선언
삼양그룹은 창립 기념일인 10월 1일을 앞둔 30일 사내 전산망에 창립 기념사를 게시했다고 같은 날 밝혔다.
김윤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헬스 앤 웰니스(Health & Wellness), 친환경, 첨단 산업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도약의 발판으로 ‘스페셜티 소재, 글로벌 시장, 디지털 혁신’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최근 삼양그룹은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 프리바이오틱스 등 스페셜티 식품 소재 리더십을 확보하고 퍼스널케어 소재 사업을 육성해 헬스 앤 웰니스 관련 사업을 강화 중이다. 또, 고기능성 컴파운드,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 개발도 가속화하고 있다.
이어 김 회장은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이소소르비드는 상업 생산 및 이를 활용한 다양한 친환경 소재 개발로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바이오 의약품 전달체 ‘센스(SENS)’는 국내외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 중”이라며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장기간 투자한 스페셜티 기술을 비롯 다양한 글로벌 경영 성과를 강조했다.
◆유한킴벌리, 자생 구상나무 살리기 나서
유한킴벌리는 29일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구상나무 및 멸종위기 고산침엽수의 보호 및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8일 산림청과 체결한 탄소중립 활동과 ESG 경영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에 따른 후속 조치다.
기후위기에 대한 경고음이 전세계 곳곳에서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구상나무도 현재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 적설 감소 등의 원인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어 보전과 복원을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태다. 실제로 국립산림과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구상나무의 약 30%가 고사가 시작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상나무는 해외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도 사용되며, 한라산과 지리산 등에서만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으로,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유한킴벌리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 구상나무 보전을 위한 조사 및 종자수집 △ 현지외 보전을 위한 구상나무숲 조성(국립백두대간수목원) △ 멸종위기 고산침엽수의 보호 및 보전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투썸플레이스, 10월 딜리버리 프로모션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가 0월을 맞아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를 통해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먼저, 배달의민족에서 4일부터 17일까지 배달의민족에서 판매되는 투썸플레이스 메뉴를 1만8,000원 이상 구매하면 3,000원을 할인해준다. 배달의민족 브랜드관에서 투썸플레이스를 선택하고 할인 쿠폰을 다운로드 한 뒤 적용하면 할인된 금액으로 주문할 수 있다.
요기요에서는 18일부터 31일까지 1만5,000원 구매 시 3,000원을 할인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요기요 앱에 접속 후 ‘요기요 1초 결제’ 또는 ‘요기서 결제’ 페이지에서 결제하면 자동 할인된 금액으로 주문할 수 있다. 여기에 요기요 슈퍼클럽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3,000원의 추가 할인을 제공해, 최대 6,000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 이슈] 삼양그룹 창립 97주년, ‘글로벌 스페셜티 솔루션 기업’ 도약 선언/유한킴벌리, 자생 구상나무 살리기 나서/투썸플레이스, 10월 딜리버리 프로모션
기사입력:2021-09-30 13:52: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375,000 | ▲476,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500 |
이더리움 | 2,613,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10 | ▼50 |
리플 | 3,159 | ▲6 |
이오스 | 1,056 | ▼2 |
퀀텀 | 3,128 | ▼2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469,000 | ▲509,000 |
이더리움 | 2,616,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40 |
메탈 | 1,187 | ▼6 |
리스크 | 769 | ▼4 |
리플 | 3,160 | ▲8 |
에이다 | 1,010 | ▲2 |
스팀 | 21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340,000 | ▲43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1,500 |
이더리움 | 2,612,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20 | ▼20 |
리플 | 3,159 | ▲7 |
퀀텀 | 3,134 | ▼23 |
이오타 | 30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