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중대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큰 집으로 이사 가려는 수요가 많은 데다 집값 상승률도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부동산114의 아파트값 상승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7월부터 1년간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전용면적 85㎡ 초과가 20.11%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전용 60㎡ 초과 85㎡ 이하가 17.93%, 60㎡ 이하가 14.95%로 뒤를 이었다. 이는 수도권과 상반되는 수치다. 수도권은 전용 85㎡ 초과가 16.7% 상승하며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고, 전용 60㎡ 이하 상승률이 19.73%로 가장 높았다.
분양시장에서도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더 많다. 올해 상반기(1~6월) 지방에 분양된 전용 85㎡ 초과 아파트는 4336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1만8970건의 1순위 청약통장이 접수되며 평균 27.4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전용 85㎡ 이하 아파트는 3만892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34만2826건이 접수되며 8.81대 1의 비교적 낮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처럼 지방에서 중대형 아파트가 인기몰이를 하는 이유는 공급 부족으로 희소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총 57만7771가구의 아파트가 일반분양 됐고, 전용 85㎡ 초과는 5만7894가구로 전체 중 10.02%밖에 되지 않았다.
부동산인포 권일 팀장은 “지방은 수도권보다 아파트값에 대한 부담이 적다 보니 더 넓은 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큰데 부동산시장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지방 중대형 아파트라고 해도 입지와 브랜드, 상품성을 꼼꼼히 따져서 청약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강원도 강릉시 교동 일대 공급하는 ‘강릉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7월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 84~185㎡의 중대형으로 구성됐고, 1305가구 규모의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이기도 하다. 4Bay(베이) 판상형 위주의 특화설계가 적용돼 개방감이 우수하고, 펜트리룸, 드레스룸, 파우더룸 등 집안 곳곳에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설계도 적용할 예정이다. 단지와 함께 조성되는 24만㎡ 규모의 교동7공원에는 6개의 테마 숲과 1개의 둘레길 등 다양한 문화·레저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KTX 강릉역을 이용하면 청량리역까지 약 1시간 40분이면 이동할 수 있고, 서울역까지는 약 2시간이 소요된다.
세종시에서는 GS건설 컨소시엄(GS건설·태영건설·한신공영)이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6-3생활권 L1블록에 공급하는 ‘세종자이 더시티’를 분양 중이다. 전용 84~154㎡P, 총 1350가구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분양일정은 오는 28일 1순위, 29일 2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9월에는 HDC현대산업개발이 광주 동구 학동 일대에서 ‘무등산 아이파크 2차’ 전용 59~135㎡ 총 2314가구 중에서 1353가구를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학동·증심사입구역과 남광주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인근에 조선대학교도 위치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이 전라북도 전주시 송천동 일대 아파트 전용 84~135㎡ 576가구 규모로 10월께 내놓을 예정이다. 인근 초포초, 미산초, 화정중 등 학교가 많고, 26번 국도를 통해 단지 진·출입이 쉽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중대형 아파트, 희소성 높아 지방에서 ‘날갯짓’
기사입력:2021-07-21 13:28: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12,000 | ▼107,000 |
비트코인캐시 | 528,500 | ▼1,500 |
이더리움 | 2,607,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50 | ▼70 |
리플 | 3,174 | ▼13 |
이오스 | 967 | ▼11 |
퀀텀 | 3,096 | ▼1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21,000 | ▼109,000 |
이더리움 | 2,608,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10 | ▼140 |
메탈 | 1,203 | ▼10 |
리스크 | 785 | ▲1 |
리플 | 3,173 | ▼16 |
에이다 | 990 | ▼6 |
스팀 | 21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6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30,000 | ▼3,000 |
이더리움 | 2,607,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20 | ▼110 |
리플 | 3,175 | ▼13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295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