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산인프라코어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팩 시제품 1호기를 제작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두산인프라코어는 배터리팩 사업과 전동화 제품 개발에 한층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배터리팩’이란 전동화 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종 형태다. 셀 단위의 배터리를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 시스템 등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이 함께 구성된다.
두산인프라코어 배터리팩은 표준화된 원통형 배터리셀을 조합해 단위 전압 및 용량에 맞춰 유연하게 설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 또한 표준화, 공용화 설계를 적용해 직•병렬 관계없이 최대 32개 모듈로 배터리팩 구성이 가능하다. 배터리셀 연결 시 물리적으로는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고, 전기적으로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전동 파워팩(Electric Powerpack)사업 타당성 검토를 거쳐 배터리팩에 대한 자체 개발을 추진해왔다. 이번 시제품으로 실제 장비 탑재 테스트를 거쳐, 내년초에는 배터리팩을 탑재한 1.7톤급 전기 굴착기 초도품을 제작할 예정이다.
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건설기계를 비롯해 농기계, 골프 카트 등 전기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장비에 배터리팩 장착이 가능하다”며, “배터리팩 사업은 2030년 연 5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두산인프라코어는 내연기관과 전동화 중간 단계인 ‘마일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내연기관에 전기모터와 배터리를 함께 장착한 것으로 강력한 시동성과 함께 연비 및 출력향상,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낼 수 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48V(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엔진 전문지 ‘DIESEL PROGRESS(디젤 프로그레스)’가 뽑은 2020년 주목할 만한 신제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손동연 두산인프라코어 사장은 “국내 최고의 엔진 전문 기업으로 차량, 선박, 산업용, 방산엔진까지 다양한 엔진을 개발해 왔으며, 엔진 본고장인 독일을 비롯해, 유럽, 중국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내연기관의 커다란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및 전동화 기술 개발에 속도를 더해 글로벌 엔진시장 선두업체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두산인프라코어, 배터리팩 사업 속도 낸다
기사입력:2021-05-10 11:33:5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05,000 | ▲234,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1,000 |
이더리움 | 2,617,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60 | ▲110 |
리플 | 3,196 | ▲20 |
이오스 | 978 | ▲1 |
퀀텀 | 3,121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90,000 | ▲255,000 |
이더리움 | 2,618,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60 | ▲80 |
메탈 | 1,214 | ▼6 |
리스크 | 791 | ▼4 |
리플 | 3,198 | ▲22 |
에이다 | 998 | ▲7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50,000 | ▲28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500 |
이더리움 | 2,61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60 | ▲80 |
리플 | 3,198 | ▲22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